Return to Video

나쁜 습관을 없애는 간단한 방법

  • 0:01 - 0:03
    제가 명상하는 법을
    처음 배우기 시작했을 때
  • 0:03 - 0:06
    하는 방법은 간단하게 호흡에 집중하고
  • 0:06 - 0:08
    정신이 흐트러지면 다시
    집중하는 것이었습니다.
  • 0:09 - 0:10
    충분히 간단해 보였는데도
  • 0:11 - 0:14
    저는 조용한 곳에 앉아
  • 0:14 - 0:17
    한겨울인데도 티셔츠가
    젖도록 땀을 흘렸습니다.
  • 0:17 - 0:21
    매우 힘든 일이었기에
    시간이 날 때마다 낮잠을 잤습니다.
  • 0:21 - 0:23
    사실 매우 피곤한 일이었습니다.
  • 0:23 - 0:25
    하는 방법은 매우 간단했지만
  • 0:25 - 0:27
    저는 뭔가 중요한 것을
    놓치고 있었습니다.
  • 0:28 - 0:31
    대체 왜 집중하는 게 힘든 걸까요?
  • 0:31 - 0:33
    연구결과에 따르면
  • 0:33 - 0:36
    우리가 무언가에 정말로
    집중하려고 노력할때도
  • 0:36 - 0:37
    예를 들어 이 강연처럼 말이죠.
  • 0:37 - 0:39
    어느 한 시점에는
  • 0:39 - 0:41
    우리 중 절반이 딴생각에 빠지거나
  • 0:41 - 0:43
    트위터를 확인하고 싶은
    충동이 들 겁니다.
  • 0:44 - 0:46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걸까요?
  • 0:47 - 0:50
    우리가 과학계에 알려진 것 중
    가장 진화론적으로 보존된
  • 0:50 - 0:53
    학습 과정 중 하나이자
    인간에게 알려진 가장 기본적인 신경계에
  • 0:53 - 0:57
    보존되어 있는 학습 과정과
    싸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0:58 - 0:59
    이런 보상 학습 과정은
  • 1:00 - 1:02
    정적, 부적 강화라고 불립니다.
  • 1:02 - 1:03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이 일어나죠.
  • 1:04 - 1:06
    우리가 맛있는 음식을 발견하면
  • 1:06 - 1:09
    뇌는 "칼로리!...생존!"
    이라고 말합니다.
  • 1:09 - 1:10
    우리는 음식을 먹고 맛보죠.
  • 1:10 - 1:11
    맛있습니다.
  • 1:11 - 1:13
    특히나 설탕이 들어있을 땐
  • 1:13 - 1:15
    우리 몸은 뇌에 이런 신호를 보냅니다.
  • 1:15 - 1:18
    "무얼 먹고 있는지,
    어디서 발견했는지 기억해."
  • 1:19 - 1:22
    우리는 이 문맥 의존적인
    기억을 저장해서
  • 1:22 - 1:24
    다음번에 이 과정을
    반복하는 걸 학습합니다.
  • 1:25 - 1:26
    음식을 본다.
  • 1:26 - 1:27
    먹는다. 맛있다.
  • 1:27 - 1:29
    반복한다.
  • 1:29 - 1:32
    계기, 행동, 보상입니다.
  • 1:32 - 1:33
    간단하죠?
  • 1:34 - 1:36
    시간이 더 지나면
    창의적인 우리의 뇌는
  • 1:36 - 1:37
    "있잖아,
  • 1:37 - 1:41
    이걸 음식의 위치를 기억하는 것 말고도
    더 많은 데에 쓸 수 있어.
  • 1:41 - 1:43
    만약에 다음번에 기분이 안좋아지면
  • 1:43 - 1:47
    기분이 나아지기 위해 맛있는 걸
    먹어보는 건 어때?"라고 합니다.
  • 1:48 - 1:50
    우린 이 기발한 발상을 한
    뇌에 고마움을 느끼며
  • 1:50 - 1:51
    이걸 시도해보고
  • 1:51 - 1:55
    화나고 슬플 때 초콜릿이나 아이스크림을
    먹으면 기분이 나아진다는 걸
  • 1:55 - 1:56
    재빨리 학습합니다.
  • 1:57 - 1:58
    같은 과정이지만
  • 1:58 - 2:00
    계기만 다르죠.
  • 2:00 - 2:03
    위장에서 보내는 배고픔의 신호 말고
  • 2:03 - 2:05
    슬픔을 느끼는 감정적 신호가
  • 2:05 - 2:06
    먹고 싶은 욕구을 가져옵니다.
  • 2:07 - 2:09
    우리는 10대 시절에
  • 2:09 - 2:11
    학교에서 촌스러운 아이였고,
  • 2:12 - 2:14
    담배피는 반항적인 아이들을 보면서
    이렇게 생각했을 수도 있습니다.
  • 2:14 - 2:16
    "나도 멋져 보이고 싶은데."
  • 2:16 - 2:17
    그래서 담배를 피기 시작합니다.
  • 2:18 - 2:22
    말보로 광고에 나오는 남자가 촌스럽지
    않은 건 우연의 일치가 아니죠.
  • 2:22 - 2:23
    멋진 걸 보고,
  • 2:23 - 2:24
    멋져 보이려고 담배를 피고
  • 2:24 - 2:26
    기분이 좋아서 반복합니다.
  • 2:26 - 2:28
    계기, 행동, 보상이죠.
  • 2:29 - 2:30
    우리가 이걸 할 때마다
  • 2:30 - 2:32
    이 과정을 반복하는 걸 학습하게 되고
  • 2:32 - 2:33
    습관이 됩니다.
  • 2:34 - 2:35
    그래서 나중에는
  • 2:35 - 2:39
    스트레스를 받는 것이
    담배를 피고 싶게 만들거나
  • 2:39 - 2:40
    달달한 걸 먹고 싶게 합니다.
  • 2:41 - 2:44
    이 동일한 뇌의 작용으로
  • 2:44 - 2:46
    우린 생존하는 법을 배우는 것에서
  • 2:46 - 2:49
    이런 습관들로 스스로를
    죽게 만드는 것으로 옮겨갔습니다.
  • 2:49 - 2:50
    비만과 흡연은
  • 2:50 - 2:55
    세계 질병률과 사망률의 요인 중에서
    가장 예방 가능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
  • 2:55 - 2:57
    그럼 다시 호흡으로 돌아가서,
  • 2:58 - 3:00
    만약에 뇌와 싸우거나
  • 3:00 - 3:03
    스스로를 집중하도록
    강요하려고 노력하는 대신
  • 3:03 - 3:07
    자연적인 보상 학습 과정에
    추가적인 것을 가미해
  • 3:07 - 3:08
    이용하는 건 어떨까요?
  • 3:09 - 3:11
    그 순간의 경험에
  • 3:11 - 3:13
    많은 호기심을 가지게
    된다면 어떨까요?
  • 3:13 - 3:15
    예를 하나 들어드리죠.
  • 3:15 - 3:16
    제 연구실에서
  • 3:16 - 3:19
    우리는 마음챙김 훈련이
    금연을 도울 수 있는지 연구했습니다.
  • 3:19 - 3:23
    제 호흡에 집중하도록
    스스로를 강제하는 것처럼
  • 3:23 - 3:26
    그들도 금연하도록
    스스로를 강제할 수 있었습니다.
  • 3:26 - 3:29
    그들 중 대부분이 이 방법을
    시도해보았다가 평균적으로
  • 3:29 - 3:31
    6번을 실패한 경험이 있었습니다.
  • 3:32 - 3:33
    마음챙김 훈련에서는
  • 3:33 - 3:37
    강제하는 것을 그만두고
    호기심을 가지는 데 집중했습니다.
  • 3:38 - 3:41
    담배를 피라고까지 했습니다.
  • 3:41 - 3:43
    네, 우린 "담배 피세요.
  • 3:43 - 3:46
    담배 필 때 어떤 느낌일지에 대해서
    호기심만 가지세요."
  • 3:46 - 3:48
    그들은 뭘 깨달았을까요?
  • 3:48 - 3:51
    우리 흡연자 중 한 명을
    예로 보여드리겠습니다.
  • 3:51 - 3:54
    "의식적인 흡연:
    역겨운 치즈 냄새가 나고
  • 3:54 - 3:56
    화학물질 맛이 나요."
    라고 그녀가 말합니다.
  • 3:56 - 3:57
    우웩!"
  • 3:58 - 4:01
    그녀는 흡연이 그녀에게
    좋지 않다는 걸 인지하고 있었습니다.
  • 4:01 - 4:03
    그래서 우리 프로그램에 참여했죠.
  • 4:04 - 4:08
    주의 깊게 호기심을 가지고
    담배를 피면서 그녀가 깨달은 건
  • 4:08 - 4:11
    담배 맛이 끔찍하다는 것이었습니다.
  • 4:11 - 4:13
    (웃음)
  • 4:14 - 4:18
    그녀는 지식에서 지혜로 옮겨갔습니다.
  • 4:18 - 4:21
    흡연이 나쁘다는 걸
    머릿속에서 아는 것에서
  • 4:22 - 4:24
    뼈 속 깊이 느끼는 것으로 옮겨갔고
  • 4:24 - 4:26
    오랫동안 해온 흡연이 끝났습니다.
  • 4:26 - 4:30
    그녀는 그 행동에 환멸을
    느끼기 시작했죠.
  • 4:31 - 4:37
    진화적 관점에서 뇌의 가장
    젊은 부분인 전전두엽피질은
  • 4:37 - 4:41
    지적 수준에서 담배를 피면
    안된다는 걸 이해합니다.
  • 4:41 - 4:45
    그리고 우리의 행동을 바꾸고,
    담배를 끊게 하고,
  • 4:45 - 4:46
    두 번째 쿠키를,
  • 4:46 - 4:50
    세 번째, 네 번째 쿠키를 그만 먹게
    하려고 최선을 다해 노력합니다.
  • 4:51 - 4:52
    우린 이걸 인지적 통제라고 부릅니다.
  • 4:52 - 4:55
    행동을 통제하기 위해
    인지를 사용합니다.
  • 4:56 - 4:57
    불행하게도 전전두엽피질은
  • 4:57 - 4:59
    우리가 스트레스를 받으면
  • 4:59 - 5:01
    제일 먼저 꺼지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 5:01 - 5:02
    별로 도움이 안되죠.
  • 5:02 - 5:05
    우리 모두 각자의 경험으로
    이것에 공감할 수 있습니다.
  • 5:05 - 5:08
    우리는 스트레스를 받거나 피곤할 때
    배우자나 아이에게 소리지르는 것과 같은
  • 5:08 - 5:10
    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5:10 - 5:12
    도움이 안 될 거라는 걸
    알면서도 말이죠.
  • 5:12 - 5:14
    그냥 어쩔 수 없습니다.
  • 5:15 - 5:17
    전전두엽피질이 꺼져버리면
  • 5:17 - 5:20
    오래된 습관으로 돌아갑니다.
  • 5:20 - 5:22
    그래서 행동을 깨뜨리는 게
    매우 중요한 겁니다.
  • 5:22 - 5:24
    우리가 습관으로부터
    무엇을 얻는지 보는 것은
  • 5:24 - 5:26
    습관을 더 깊이 있는 수준에서 이해하고
  • 5:26 - 5:28
    뼈 속 깊이 알 수 있게 합니다.
  • 5:28 - 5:30
    참거나 행동을 자제하도록
  • 5:30 - 5:32
    강제하지 않아도 되게 말이죠.
  • 5:32 - 5:34
    애초부터 행동을 하는 것에
    흥미를 덜 가지는 겁니다.
  • 5:34 - 5:37
    이게 마음챙김 훈련의 전부입니다.
  • 5:37 - 5:41
    우리의 행동에 깊숙히 빠져버리면
    무엇을 얻게 되는지 명확히 봄으로써
  • 5:42 - 5:45
    본능적으로 그것에 환멸을 느끼고
  • 5:45 - 5:48
    환멸을 느끼는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내려놓는 것이죠.
  • 5:49 - 5:52
    마법처럼 뿅 하고 갑자기
    담배를 끊게 된다는 게 아닙니다.
  • 5:52 - 5:55
    시간이 흐르면서 우리가 하는 행동의
    결과를 더 많이, 더 명확하게
  • 5:55 - 5:56
    학습하게 되면서
  • 5:56 - 5:59
    오래된 습관을 버리고
    새 습관을 형성합니다.
  • 6:00 - 6:01
    여기서 역설적인 건
  • 6:01 - 6:04
    마음챙김이 시시각각 우리 몸과
    마음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에
  • 6:04 - 6:06
    가까이 다가가고
  • 6:06 - 6:08
    개인적으로 많은 흥미를 갖는 것에
  • 6:08 - 6:10
    지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 6:10 - 6:12
    불쾌한 욕구를 최대한 빨리
    없애려고 하는 것보다
  • 6:12 - 6:16
    우리의 경험을 자발적으로
    마주보고 대면하려는 마음이죠.
  • 6:17 - 6:19
    경험을 대면하려는 자발적 의지는
  • 6:19 - 6:21
    자연적 보상을 가져다주는
  • 6:21 - 6:23
    호기심에 의해 지탱이 됩니다.
  • 6:23 - 6:25
    호기심은 어떤 느낌일까요?
  • 6:25 - 6:26
    기분 좋은 느낌입니다.
  • 6:27 - 6:29
    호기심을 갖게 되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요?
  • 6:29 - 6:33
    욕구가 육체적 감각으로 이루어져있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는 걸,
  • 6:33 - 6:35
    아 이게 긴장감이구나,
  • 6:35 - 6:37
    이게 불안감이구나, 이렇게요.
  • 6:37 - 6:39
    그리고 이 육체적 감각들이
    일시적이라는 걸 깨닫기 시작합니다.
  • 6:40 - 6:43
    이 작은 단편의 경험들은
  • 6:43 - 6:45
    우리가 거대하고 무서운 욕구에
  • 6:45 - 6:49
    목이 메어 휘청거리지 않고
    시시각각 헤쳐나갈 수 있는
  • 6:49 - 6:50
    경험들입니다.
  • 6:50 - 6:53
    다른 말로, 호기심을 갖게 되면
  • 6:53 - 6:58
    우리는 오래된, 두려움에 기초한
    반작용적인 습관 패턴에서 벗어나
  • 6:58 - 7:00
    실재가 됩니다.
  • 7:00 - 7:03
    우리 내면에 있던 과학자가 되어
  • 7:03 - 7:06
    다음 데이터를 목이 빠지게
    기다리게 되죠.
  • 7:06 - 7:11
    이것이 행동에 영향을 주기엔
    너무 단순하게 들릴 수 있습니다.
  • 7:11 - 7:13
    하지만 우리는 한 연구에서
    마음챙김 훈련이 금연에
  • 7:13 - 7:17
    가장 많이 사용되는 치료법보다
    2배 더 도움된다는 걸 발견했습니다.
  • 7:17 - 7:19
    실제로 효과가 있는 것이죠.
  • 7:20 - 7:23
    그리고 경험 많은 명상가들의
    뇌를 연구했을 때
  • 7:23 - 7:26
    내정상태회로(DMN)이라고 하는
    자기지시적 처리를 담당하는 신경망의
  • 7:26 - 7:29
    일부분이 작동한다는 걸 발견했습니다.
  • 7:29 - 7:31
    최근의 한 가설에 따르면
  • 7:31 - 7:34
    이 신경망의 한 부분인 대상피질은
  • 7:35 - 7:37
    욕구를 가지는 것만으로
    작동하는 게 아니라
  • 7:37 - 7:40
    그것에 휩쓸려 빠져들었을 때
  • 7:40 - 7:42
    우리를 기만합니다.
  • 7:42 - 7:44
    반면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에
  • 7:44 - 7:48
    자각적으로 호기심을 갖는
    것만으로 그만 내려놓고
  • 7:48 - 7:50
    그 과정에서 빠져나오면
    대상피질은 잠잠해집니다.
  • 7:51 - 7:55
    우리는 지금 이 핵심적
    매커니즘을 대상으로 하는 앱과
  • 7:55 - 7:59
    온라인 마음챙김 훈련 프로그램을
    시험 중입니다.
  • 7:59 - 8:03
    그리고 역설적이게도 우리의 집중을
    방해하는 그 동일한 체계를
  • 8:03 - 8:06
    흡연이나 스트레스 받을 때 먹거나
    그 외의 중독성 있는 행동을 하는
  • 8:06 - 8:10
    해로운 습관에서 벗어나는 것을
    돕는 데 사용하고 있습니다.
  • 8:10 - 8:12
    혹시 문맥 의존적 기억에 대해
    했던 말 기억하시나요?
  • 8:12 - 8:15
    우리는 이 도구를
    가장 의미있는 문맥 안에서
  • 8:15 - 8:17
    그들의 손 끝에
    가져다 줄 수 있습니다.
  • 8:18 - 8:19
    우린 그들이 담배를 피거나
  • 8:19 - 8:22
    스트레스 받을 때 먹거나
    그 외에 다른 욕구가 나타났을 때
  • 8:22 - 8:26
    자각적으로 호기심을 갖는 선천적 능력을
    이용하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 8:27 - 8:28
    그러니까 만약 담배를 피지 않거나
  • 8:28 - 8:32
    스트레스를 받아도 먹지 않는다면
    다음에 지루해서 메일을 확인하고 싶거나
  • 8:32 - 8:34
    일하는데 집중하지 않고 싶거나
  • 8:34 - 8:38
    운전 중에 강박적으로 문자에
    답을 하고 싶은 욕구를 느끼게 되면
  • 8:39 - 8:43
    이 자연적 능력을
    이용할 수 있는지 한번 보세요.
  • 8:43 - 8:44
    그냥 그 순간에 몸과 마음에
  • 8:44 - 8:47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자각적으로 호기심을 가지면
  • 8:47 - 8:49
    끝없고 소모적인 습관의 순환고리를
  • 8:49 - 8:54
    영속시키는 또 다른 기회가 되거나
    거기에서 벗어나는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 8:54 - 8:57
    문자메세지를 보면
    강박적으로 답장을 하고
  • 8:57 - 8:59
    기분이 좀 나아지는 것보다
  • 8:59 - 9:00
    그 욕구를 깨닫고
  • 9:00 - 9:02
    호기심을 갖고
  • 9:02 - 9:04
    내려놓는 기쁨을 느끼고
  • 9:04 - 9:05
    그걸 반복하세요.
  • 9:05 - 9:07
    감사합니다.
  • 9:07 - 9:09
    (박수)
Title:
나쁜 습관을 없애는 간단한 방법
Speaker:
저드슨 브루어 (Judson Brewer)
Description:

나쁜 습관에 호기심을 더 많이 가지는 방법으로 습관을 없앨 수 있을까요? 정신과 의사인 저드슨 브루어는 마음챙김과 중독 간의 관계를 연구합니다. 중독은 흡연에서부터 과식과 그 외에 우리가 자신에게 나쁘다는 것을 알면서도 하는 모든 행동들입니다. 습관이 발달되는 과정과, 다음번에 담배를 피거나 간식을 먹거나 운전 중에 문자메시지를 확인하고 싶은 욕구를 느낄 때 그것을 억제할 수 있는 간단하면서도 심오한 전략에 대해 더 알아보세요.

more » « less
Video Language:
English
Team:
closed TED
Project:
TEDTalks
Duration:
09:24

Korean subtitles

Revi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