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turn to Video

Walls turned sideways are bridges | Hana Kim | TEDxDaejeonSalon

  • 0:06 - 0:09
    자 이렇게 생각을 해봅시다.
  • 0:09 - 0:12
    여러분들 앞에 막대기가 하나 있습니다.
  • 0:13 - 0:17
    막대기는 길쭉하게 생겼고,
    바닥에 놓여있습니다.
  • 0:17 - 0:21
    가로로 누워 있는 이 막대기를
    세로로 세워보고,
  • 0:21 - 0:25
    그리고 세로로 서 있는 막대기를
    다시 가로로 눕혀보는
  • 0:25 - 0:29
    이 단순한 시도만으로도
    얼마나 많은 것들이 바뀌고
  • 0:29 - 0:32
    얼마나 새로운 것들이 생겨나는지
  • 0:32 - 0:36
    오늘은 그것에 대해
    이야기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0:39 - 0:43
    무키무키만만수 아시나요?
    (네)
  • 0:43 - 0:47
    네 무키무키만만수라는
    인디밴드가 있습니다.
  • 0:47 - 0:51
    여성 2인조 이구요.
    이분들은 참 희한한 악기를 연주합니다.
  • 0:52 - 0:57
    이 악기는 보시는 바와 같이
    장구와 아주 똑같이 생겼어요.
  • 0:57 - 0:59
    그런데 장구는 우리 잘 아시잖아요.
  • 0:59 - 1:05
    장구는 바닥에 내려놓고 앉아서
    이렇게 치거나 아니면 서서 칠 때도
  • 1:05 - 1:08
    가로로 메고 양쪽을 이렇게 치지요.
  • 1:08 - 1:12
    근데 무키무키만만수는 장구를
    이렇게 세로로 세웠습니다.
  • 1:13 - 1:17
    자세히 보시면 페달이 있어서
    페달을 밟으면, 아랫면을 치구요.
  • 1:17 - 1:20
    옆에보면 심벌즈도 세워 놓았어요.
  • 1:20 - 1:23
    이 사람들이 공연하는걸 보면
  • 1:23 - 1:26
    서양식 드럼을 치는 것처럼
    위에서 막 치는데
  • 1:26 - 1:32
    소리는 뚜당 뚜당 소리가 나면서
    기묘하고 친숙한 이상한 느낌을 줍니다.
  • 1:33 - 1:37
    전통적인 것 같기도 하고
    새로운 것 같기도 하고 말이죠.
  • 1:39 - 1:42
    이 악기의 이름도 재미있습니다.
  • 1:42 - 1:46
    장구인듯 장구가아닌
    이 악기의 이름은 ‘구장구장’입니다.
  • 1:46 - 1:49
    구장구장구장구장구.....
  • 1:49 - 1:52
    장구인 것 같기도 하고
    아닌것 같기도 하죠.
  • 1:55 - 1:59
    제가 어렸을 적만 해도,
    저는 95학번인데
  • 2:00 - 2:03
    제가 대학생일 적만 해도
    신문은 세로쓰기를 했습니다.
  • 2:04 - 2:08
    여기 계신 분들 중에도 세로쓰기
    신문을 기억하는 분들이 계실 거예요.
  • 2:08 - 2:11
    계신 분들 손 한번 들어보겠어요?
  • 2:11 - 2:13
    세로 쓰기 신문을 기억하시는분.
  • 2:15 - 2:22
    지금 보시는건 1997년,
    그러니까 지금으로부터 정확하게 18년 전
  • 2:22 - 2:25
    오늘자 신문의 제1면입니다.
  • 2:25 - 2:30
    오른쪽 위에 신문의 이름이 있고,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읽게 되어있죠.
  • 2:31 - 2:37
    그런데 생각해 보면 참 이상한 게
  • 2:37 - 2:40
    제가 어렸을적만 해도 모든 책들은
    가로쓰기를 이미 하고 있었어요.
  • 2:40 - 2:43
    저희 부모님 세대의 책에는
    세로쓰기로 된 책도 있었지만
  • 2:44 - 2:49
    저희 세대에는 교과서든 소설이든 모든
    책이 이미 가로로 쓰여 있었습니다.
  • 2:50 - 2:56
    그렇다면 도대체 신문은 왜 그렇게
    오랫동안 세로쓰기를 고수했을까요?
  • 2:58 - 3:03
    꼭 그렇게 했어야만 할 특별한
    이유는 사실상 없었습니다.
  • 3:04 - 3:06
    그렇게 해왔기 때문이었죠.
  • 3:06 - 3:09
    신문이라는 것은
    으레 세로로 쓰여있는 것이었고
  • 3:09 - 3:12
    그렇기 때문에 계속해서
    세로쓰기가 진행되었고
  • 3:12 - 3:16
    만드는 사람도 읽는 사람도
  • 3:16 - 3:19
    세로쓰기에 대해
    의문을 갖지 않았습니다.
  • 3:19 - 3:24
    그러다가 1988년
  • 3:24 - 3:27
    어느 한 중앙일간지가 전면적으로
    가로쓰기를 도입했지요.
  • 3:27 - 3:33
    수십 년 동안 세로로 서 있던 문장들을
    가로로 전부 다 눕혀버리자
  • 3:33 - 3:36
    어떤 문제가 발생했을까요?
  • 3:36 - 3:38
    아무 문제도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 3:38 - 3:41
    가독성만 더 좋아지고
    읽기가 더 편해진거죠.
  • 3:41 - 3:44
    사람들이
    ‘어? 이거 편한데? 괜찮은데?’
  • 3:45 - 3:50
    점점 그래서 신문들이 하나 둘씩
    세로쓰기에서 가로쓰기로 옮겨갔습니다.
  • 3:51 - 3:55
    그래서 2015년 현재
  • 3:55 - 3:58
    세로쓰기를 고수하는 신문은
    하나도 남아있지 않게 되었습니다.
  • 3:58 - 4:04
    오히려 지금은 모든 것이
    가로쓰기가 되어있기 때문에
  • 4:04 - 4:07
    세로쓰기로 된 걸 보면
    오히려 신선할 정도죠.
  • 4:07 - 4:15
    누운 것을 세워보고,
    세운 것을 눕혀보는
  • 4:15 - 4:18
    정말 이 간단한 시도만으로도
    무한한 가능성이 열립니다.
  • 4:18 - 4:24
    1940년대에, 미국 화가
    잭슨 폴록은 캔버스를 눕혔습니다.
  • 4:25 - 4:30
    우리나라에서야 좌식생활을 하고
    화선지를 바닥에다 내려놓고
  • 4:30 - 4:33
    내려다보면서 그림을 그리는 게
    전통적인 방식이었지만
  • 4:33 - 4:36
    서양에서는 그렇지가 않았죠.
  • 4:36 - 4:42
    서양 화가들은 이젤에다가 캔버스를
    받쳐놓고 앞을 보며 그림을 그립니다.
  • 4:43 - 4:49
    그런데 이젤에서 캔버스를 떼어서
    바닥에다가 눕혀 놓자
  • 4:49 - 4:53
    잭슨 플록은 캔버스 주변을
    폴록 폴록 뛰어다니면서
  • 4:53 - 4:56
    물감을 흩뿌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 4:56 - 5:01
    그 우연성, 붓으로 그리는 것과는
    다른 느낌의 강렬함
  • 5:02 - 5:07
    그리고 폴록이
    이렇게 저렇게 뛰어다니면서
  • 5:07 - 5:10
    그 위를 돌아다닌 그 궤적의 운동성
  • 5:10 - 5:13
    그런것들이 최초로
    캔버스에 깃들게 되었습니다.
  • 5:15 - 5:20
    그는 이렇게 캔버스를
    눕히고 뛰어다니는 기법으로 인하여
  • 5:20 - 5:23
    액션 페인터라는 별명을 얻게 됩니다.
  • 5:23 - 5:26
    그리고 추상표현주의는
  • 5:26 - 5:29
    액션 페인팅이라는
    새로운 엔진을 달게 되죠.
  • 5:29 - 5:32
    제가 전통 한옥에서
    정말 좋아하는 시스템이 있습니다.
  • 5:34 - 5:38
    들장지문이라는 것인데요.
    이런 문 보신 적 있으신가요?
  • 5:40 - 5:43
    문을 이렇게 접어서
  • 5:43 - 5:48
    위쪽으로 지붕 아래 갈고리에다가
    척 걸쳐놓을 수 있는 거죠.
  • 5:48 - 5:52
    지금 생각하면
    참 신기한 시스템입니다.
  • 5:52 - 5:58
    안과 밖을 분리하는 벽이
    접어서 없어지는 겁니다.
  • 5:58 - 6:03
    그리고 공간 안을 구획하던 벽도
    활짝 열려버릴 수 있는거에요.
  • 6:05 - 6:08
    제가 이 들장지문을
    가장 충격적으로 본 것은
  • 6:09 - 6:12
    보길도에 있는 고산 윤선도가 지은
  • 6:13 - 6:15
    세연정이란 정자에 갔을때 였는데요.
  • 6:16 - 6:19
    정자지만 규모가 꽤 있는
    큰 집이었습니다.
  • 6:20 - 6:28
    그런데 모든 문을 다
    접어서 척 위로 올려버리면
  • 6:28 - 6:31
    갑자기 벽이었던 것이 다
    사라지고 기둥만 남는거에요.
  • 6:31 - 6:34
    문이라는 것은 보통
    경첩이 옆에 달려있죠.
  • 6:34 - 6:37
    그렇게 문을 이런식으로 엽니다.
  • 6:37 - 6:41
    그런데 들장지문은
    경첩이 위쪽에도 달려있어요.
  • 6:41 - 6:46
    그래서 문을 가로 형태로도
    세로 형태로도 열 수 있는거죠.
  • 6:46 - 6:50
    지금으로써는 상상하기
    힘든 개념이지만,
  • 6:50 - 6:53
    옛날엔 저런 식으로 많이 지었습니다.
  • 6:53 - 6:58
    한때 벽이었던 것이 접어서
    없어져 버릴 수도 있다는 그 개념은
  • 6:58 - 7:04
    우리가 가진 집에대한 개념을
    얼마나 가변적으로 만듭니까.
  • 7:05 - 7:11
    제가 좋아하는 책 이야기를 할게요.
  • 7:11 - 7:14
    배명훈 작가가 쓴 <타워>라는
    SF소설집이 있습니다.
  • 7:14 - 7:19
    이 책의 배경은 674층짜리,
    아주 거대한 빌딩이예요.
  • 7:21 - 7:26
    그리고 그 자체로 인구
    50만 명이 사는 국가이기도 합니다.
  • 7:29 - 7:32
    이 건물이 너무너무 높다 보니까
  • 7:32 - 7:35
    그냥 걸어서 위층까지
    올라갈 수는 도저히 없어요.
  • 7:35 - 7:39
    그래서 엘리베이터가
    자연스럽게 기간시설이 됩니다.
  • 7:40 - 7:42
    이 책에는 아주 재미있는
    개념이 나오는데요.
  • 7:43 - 7:46
    ‘수직주의자’와
    ‘수평주의자’라는 거에요.
  • 7:47 - 7:49
    수직주의자와 수평주의자
  • 7:49 - 7:54
    수직주의자는 기간시설인
    엘리베이터를 장악하고 있고
  • 7:54 - 7:57
    수직적 위계를 중시하는 사람들이에요.
  • 7:57 - 8:00
    국가의 요직을 많이 차지하고 있구요.
  • 8:02 - 8:09
    수평주의자는 엘리베이터로 실려
    올라온 짐을 그 한 층 안에서 지고
  • 8:09 - 8:14
    걸어서 이동하면서 짐을 날라주는
    육체노동자들인 경우가 많습니다.
  • 8:15 - 8:20
    이사람들은 수직적 위계보다는
  • 8:20 - 8:23
    수평적인 권리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들이구요.
  • 8:23 - 8:26
    수직주의자와 수평주의자
  • 8:27 - 8:28
    참 상징적인 개념이죠.
  • 8:29 - 8:34
    SF 소설이 아니라 실제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의 역사를 돌이켜봐도
  • 8:35 - 8:42
    이와 비슷한 유형의 철학과, 그 사이의
    갈등이 일어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8:43 - 8:47
    이 책 안에서도
  • 8:47 - 8:50
    수직주의자와 수평주의자들은
    자연스레 대립하게 됩니다.
  • 8:50 - 8:55
    아주 단순하게 말하자면,
  • 8:55 - 8:58
    1789년 프랑스대혁명도
    절대왕권으로 상징되는 수직적인 위계를
  • 8:58 - 9:02
    밀어서 수평적으로 넘어뜨린
    사건이라고 할 수 있을겁니다.
  • 9:05 - 9:08
    여러분들은 티셔츠를
    어떻게 정리하시나요?
  • 9:11 - 9:15
    일본에 정리 전문가
    곤도 마리에라는 분이 있는데
  • 9:15 - 9:19
    「인생이 빛나는 정리의 마법」이란
    책을 썼어요.
  • 9:20 - 9:23
    이 책을 읽고
    참 많은깨달음을 얻었는데요.
  • 9:24 - 9:29
    이분이 충고하기를 모든 것들을
    세워서 정리 하라는 겁니다.
  • 9:30 - 9:34
    그 편이 공간효율이 훨씬 낫고
    쓰기에도 편리하다는 거죠
  • 9:36 - 9:43
    티셔츠 한장을
    개어서 바닥에 놓아보면
  • 9:43 - 9:46
    그것은 그렇게 가만히 누워 있는 것이
    당연한 순리인 것처럼 느껴집니다.
  • 9:46 - 9:51
    하지만 이 분의 충고에 따라서
  • 9:51 - 9:54
    서랍에 티셔츠를 착착착 잇대어서
    세워서 정리해 보면은
  • 9:54 - 9:57
    정말 그분의 책 제목처럼
    마법 같은 일이 벌어집니다.
  • 9:58 - 10:02
    일단 서랍을 열면 제가 가진
    티셔츠들이 한 눈에 다 들어오죠.
  • 10:03 - 10:06
    보통 티셔츠는 누워있게
    순리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 10:06 - 10:09
    티셔츠를 착착착 쌓아서 정리합니다.
  • 10:09 - 10:14
    그러면 서랍을 열었을때
    제일 위에 있는 것만 보이고
  • 10:14 - 10:17
    밑에 있는걸 찾으려면
    들추어 보아야 되죠.
  • 10:17 - 10:22
    그리고 티셔츠를 세로로
    세워서 정리를 하면
  • 10:22 - 10:27
    제일 아래쪽에 있는 티셔츠들이
    그 위쪽에 있는 무게에 눌려서
  • 10:27 - 10:30
    납작해지는 일도 없어집니다.
  • 10:30 - 10:34
    저는 한번 이렇게
    이 책을 읽고 감명을 받아서
  • 10:34 - 10:37
    티셔츠를 이렇게 세로로 세워서
    정리하고 난 뒤에는
  • 10:37 - 10:39
    계속 이렇게 정리를 하고 있습니다.
  • 10:40 - 10:43
    여기서 큰 교훈을 얻을 수 있죠.
  • 10:44 - 10:47
    티셔츠는 누워만 있는 것이 아니다.
  • 10:49 - 10:51
    사실은 그 어떤 것도 마찬가집니다.
  • 10:52 - 10:56
    누워 있는걸 세워 보고,
    세워져 있는 걸 눕혀 봅시다.
  • 10:58 - 11:03
    자 그러면 다시 여러분들 앞에
    막대기가 하나 있습니다.
  • 11:05 - 11:08
    사람들은 이것을
    ‘현실’이라고 부릅니다.
  • 11:09 - 11:11
    그건 원래 거기 있었습니다.
  • 11:12 - 11:16
    사람들은 이렇게 말하죠.
    ‘그건 원래 그런 거예요.’
  • 11:17 - 11:21
    ‘그건 원래 그런 거예요.’
    글쎄요. 정말로 그럴까요?
  • 11:22 - 11:26
    1960년대에 아주 유명했던
  • 11:26 - 11:29
    안젤라 데이비스라고하는
    운동가가 있습니다.
  • 11:29 - 11:34
    그 흑백차별이 심하던 60년대에
    흑인 인권운동가였고,
  • 11:35 - 11:39
    그 자신이 여성이자 페미니스트였고,
  • 11:39 - 11:42
    양성애자였고,
    성소수자 인권운동을 벌였고,
  • 11:42 - 11:47
    그리고 그 냉전 시대에 공산당
    당수이기까지 한 인물이었습니다.
  • 11:48 - 11:56
    말하자면 자신을 겹겹으로
    둘러싸고 있는 벽들에
  • 11:56 - 11:59
    온몸을 부딪쳐서 그 벽들을
    쓰러뜨리고자 노력했던 사람이었죠.
  • 11:59 - 12:00
    이 사람이 무슨 말을 했나면
  • 12:01 - 12:05
    “벽을 눕히면 다리가 된다.” 라고
    했습니다.
  • 12:06 - 12:08
    “벽을 눕히면 다리가 된다.”
  • 12:10 - 12:15
    우리를 둘러싼 현실이라는 것은
  • 12:15 - 12:18
    이런 막대기들이 수천, 수억 개씩
    쌓여있는 것과 같습니다.
  • 12:18 - 12:22
    사람들은 다 그건 ‘원래 거기’
    있었다고들 말합니다.
  • 12:24 - 12:29
    하지만 그 수많은 막대기 중에
    아주 작은 단 한개라도
  • 12:29 - 12:32
    누워 있는 것을 세워보고,
    세워 있는걸 눕히는
  • 12:32 - 12:36
    아주 단순한 시도라도 해 \본다면
  • 12:36 - 12:39
    무언가 아주 작은 거라도 달라집니다.
  • 12:39 - 12:42
    막대기만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 12:44 - 12:48
    누군가 그런 시도를 하지 않았더라면
  • 12:48 - 12:51
    우리는 지금까지도 신문을
    세로로 읽고 있을 겁니다.
  • 12:51 - 12:58
    이건 그저 작은
    막대기에 대한 얘기가 아니라,
  • 12:58 - 13:01
    거대하고 단단해 보이는
    현실의 벽에서도 마찬가집니다.
  • 13:01 - 13:04
    우리 앞을 가로막는 부정의하고
  • 13:04 - 13:07
    불평등하고,
    아름답지 못한 현실의 벽.
  • 13:07 - 13:12
    그것이 너무나 높고 단단해서
    도저히 우리 힘으로는
  • 13:12 - 13:15
    쓰러릴 수 없을 것 처럼
    느껴진다 하더라도
  • 13:15 - 13:17
    우리는 사실 그것을
    쓰러뜨릴 수 있습니다.
  • 13:18 - 13:24
    누구도 침범하지 못할 거라고
    생각했던 절대왕권도 무너졌는걸요.
  • 13:26 - 13:32
    여러분들 앞에 있는
    현실의 벽을 온 몸을 부딪혀서
  • 13:32 - 13:35
    밀어서 넘어뜨려 다리를 놓아 보십시오.
  • 13:35 - 13:39
    그리고 그 다리를 걸어가서
  • 13:39 - 13:42
    조금은 더 재미있고,
    조금은 더 아름답고
  • 13:42 - 13:46
    조금 더 나은 세상을 만나 보십시오.
  • 13:47 - 13:48
    감사합니다.
Title:
Walls turned sideways are bridges | Hana Kim | TEDxDaejeonSalon
Description:

김하나씨는 창의성이란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것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사실을 조금 다른 각도에서 보는 것 또한 창의적인 생각이라고 말 합니다. 실제 사례를 통해 이러한 생각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방법에 대한 이야기를 합니다.

BB&TT 광고 에이전시의 CEO

이 강연은 TED 컨퍼런스와 별도로 개최된 지역 TEDx 행사에서 발표되었습니다.
더 많은 정보는 http://ted.com/tedx에서 확인하세요.

In this video Hana Kim insists that creativity is not just makeing new thins but making small difference by showing some real cases. And she talks her idea regarding how to see the world with this changes.

CEO of advertising agency BB&TT

This talk was given at a TEDx event using the TED conference format but independently organized by a local community. Learn more at http://ted.com/tedx

more » « less
Video Language:
Korean
Team:
closed TED
Project:
TEDxTalks
Duration:
13:58

Korean subtitles

Revi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