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turn to Video

무한대는 얼마나 클까?

  • 0:14 - 0:16
    제가 4학년이었을 때, 선생님께서 우리들에게 이런 말씀을 하셨습니다:
  • 0:16 - 0:19
    "전체 숫자들 만큼이나 많은 짝수들이 있어요."
  • 0:19 - 0:25
    "정말일까?" 라고 저는 생각했어요. 네 그래요. 정말 무한히 많은 수와 짝수가 있고 저는 아마도 그 숫자들의 수가 같을거라고 생각했어요.
  • 0:25 - 0:30
    하지만 짝수는 전체 숫자들의 일부이고 홀수가 남아 있잖아요,
  • 0:30 - 0:33
    그래서 짝수보다는 전체 숫자가 더 많아야 한다고 생각했어요. 그렇죠?
  • 0:33 - 0:39
    선생님께서 말씀하신 것을 알아보기위해 두개의 집합이 같은 크기라는것이 의미하는바를 생각해보죠.
  • 0:39 - 0:44
    제가 오른손의 손가락 수와 왼손의 손가락 수가 같다고 말하면 무엇을 의미할까요?
  • 0:44 - 0:48
    물론 각 손마다 5개의 손가락이 있지만 사실 더 간단하게 갯수가 같음을 알수 있습니다.
  • 0:48 - 0:53
    셀 필요가 없이 이렇게 두손을 겹쳐보면 됩니다.
  • 0:53 - 0:56
    사실 3보다 더 큰 숫자를 표현하는 단어가 없었던
  • 0:56 - 1:02
    고대 사람들은 이런 마술같은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예를들어 양들을 우리에서 목초지로 방목을 시킬때,
  • 1:02 - 1:06
    몇마리가 나갔는지는 돌을 하나씩 차례로 두고,
  • 1:06 - 1:09
    양들이 돌아오면 다시 돌을 하나씩 빼게 됩니다,
  • 1:09 - 1:12
    그래서 잃어버린 양이 있는지를 알게 되는 것이죠.
  • 1:12 - 1:15
    이렇게 세는것 보다 더 기본적인 예를 한가지 들어볼께요,
  • 1:15 - 1:20
    서있는 사람없이 모두가 앉아 있는 강연장에서 연설을 한다면,
  • 1:20 - 1:23
    도대체 몇명이 왔고, 의자의 갯수가 몇개인지는 몰라도
  • 1:23 - 1:26
    저는 이 강연에 오신 분들의 숫자가 의자수 만큼이라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 1:26 - 1:28
    그래서 두개의 집합이 같은 크기라는 말은
  • 1:28 - 1:33
    각 집합의 원소들이 적당한 방법으로 1대1로 대응이 된다는 말입니다.
  • 1:33 - 1:38
    그래서 제 선생님께서는 전체 숫자를 쓰시고 밑에 2를 곱한 숫자를 쓰셨습니다.
  • 1:38 - 1:42
    보는시대로 밑에 줄의 숫자들은 모두 짝수이고 이숫자들은 1대1로 대응 관계를 이루고 있습니다.
  • 1:42 - 1:45
    그것이 바로 전체 숫자만큼 짝수의 갯수도 많다는 것입니다.
  • 1:45 - 1:51
    하지만 여전히 짝수는 전체 숫자들중의 일부라는 사실이 신경쓰이죠.
  • 1:51 - 1:56
    그런데 이렇게하면 오른손 손가락 수가 왼손가락의 수가 다르다고 생각이 드나요?
  • 1:56 - 2:01
    물론 아니죠. 여러분들이 다른 방법으로 대응해 보더라도 상관없습니다,
  • 2:01 - 2:03
    그래도 우리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 2:03 - 2:06
    두 집합이 1대1로 대응할 수 있는 방법만 있다면
  • 2:06 - 2:10
    그 두집합의 크기는 같다고 말할수 있는 것입니다.
  • 2:10 - 2:15
    모든 분수의 목록를 작성 할 수 있을까요? 너무 많아서 힘들겠죠.
  • 2:15 - 2:19
    먼저 어떤 분수부터 써야할지도 명확하지 않고, 모든 분수를 목록에 작성했는지를 확인하는 것도 어렵습니다.
  • 2:19 - 2:24
    그렇지만 모든 분수의 목록를 만들수 있는 아주 똑똑한 방법이 있습니다.
  • 2:24 - 2:28
    이 방법은 1800년대 말에 게오르크 칸토어(Georg Cantor)라는 독일의 수학자가 처음으로 시도했습니다.
  • 2:28 - 2:36
    먼저 모든 분수를 이렇게 격자 형태로 배열합니다. 예를들어, 117/243은
  • 2:36 - 2:39
    117번째 열, 243번째 행에 있게되죠.
  • 2:39 - 2:44
    그리고 왼쪽상단에서 부터 시작하여 이렇게 대각선으로 하나씩 빼면서 리스트를 만듭니다,
  • 2:44 - 2:49
    그리고 2/2와 같이 1로 약분되는 분수는 처음에 뽑았으니 포함시키지 않으면 됩니다.
  • 2:49 - 2:53
    그러면 모든 분수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만들 수 있게됩니다. 이 뜻은
  • 2:53 - 2:58
    더 많은 분수가 있을거라고 생각하지만 모든 숫자들에 이 분수들을 1대1로 대응 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 2:58 - 3:01
    좋습니다, 여기에 정말 재밌는게 있어요.
  • 3:01 - 3:06
    여러분은 모든 실수가 분수는 아니라는걸 알고 있죠. 즉, 모든 수가 이 선위에 있지 않습니다.
  • 3:06 - 3:09
    예를들어 루트 2와 파이(Pi)가 그렇습니다.
  • 3:09 - 3:15
    이런 수들을 무리수라고 합니다. 이 숫자들이 미쳐서가 아니라
  • 3:15 - 3:21
    분수들은 전체 숫자의 비율로 표시합니다, 그래서 유리수라고하죠; 즉, 나머지가 끊임없이 이어지기 때문에 무리수입니다.
  • 3:21 - 3:25
    무리수는 무한히 반복되지 않는 숫자들로 표시합니다.
  • 3:25 - 3:29
    그럼 모든 숫자들과 모든 유리수, 무리수사이에 1대1 대응관계를 만들수 있을까요?
  • 3:29 - 3:34
    즉, 모든 소수들의 리스트를 만들수 있겠냐는것이죠.
  • 3:34 - 3:39
    칸토어는 만들수 없다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단순히 어떻게 하는지 모르니까 안된다고 한 것이 아니라 실제로 안된다는 것을 보여주었죠.
  • 3:39 - 3:46
    자 보세요, 여러분들이 그런 목록을 만들었다고 가정해보죠. 제가 그말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 3:46 - 3:48
    여러분이 만든 리스트에 없는 소수가 있다는 것으로 증명할 수 있습니다.
  • 3:48 - 3:51
    저는 한번에 소수자리 하나씩 만들겁니다.
  • 3:51 - 3:55
    제가 만들 소수의 첫번째 자리부터 시작해서, 여러분들의 숫자의 첫번째 소수자리부터 보죠.
  • 3:55 - 4:00
    만약 여러분의 소수자리가 1이면 저는 2라고 쓰고, 그외의 숫자가 나오면 저는 1이라고 제 숫자를 만들겠습니다.
  • 4:00 - 4:05
    제 숫자의 두번째 소수자리는 여러분의 두번째 숫자의 두번째 소수자리와 비교해서 만듭니다.
  • 4:05 - 4:09
    여러분의 숫자가 1이 나오면 저는 2라고 쓰고, 그외 숫자가 나오면 저는 1이라고 쓰겠습니다.
  • 4:09 - 4:14
    어떻게 되지는 보세요? 제가 만들어낸 소수자리는 여러분의 숫자 리스트에는 없습니다.
  • 4:14 - 4:21
    왜그럴까요? 예를들어, 143번째 숫자정도에는 나올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 4:21 - 4:25
    왜냐하면 제 숫자의 143번째 소수자리는 여러분 숫자의 143번째 소수자리와는 다르기 때문입니다. 이런식으로 만들었습니다.
  • 4:25 - 4:29
    그래서 여러분이 만든 리스트는 완벽하지 않습니다. 제 숫자는 포함하지 않는다는 말이죠.
  • 4:29 - 4:34
    그래서 여러분이 어떤 리스트를 만들더라도 저는 같은 방법으로 여러분의 리스트가 포함하지 않는 숫자를 만들수 있습니다.
  • 4:34 - 4:37
    그래서 우리는 이렇게 놀라운 결론에 이르게 됩니다:
  • 4:37 - 4:43
    소수는 리스트에 들어 갈 수 없습니다. 그 숫자들은 전체 숫자의 무한대 보다 더 큰 무한대를 표현합니다.
  • 4:43 - 4:49
    그래서 루트 2나 파이와 같은 무리수에 친숙하기는 하지만
  • 4:49 - 4:52
    모든 무리수의 무한대는 분수의 무한대 보다 훨씬 더 큽니다.
  • 4:52 - 4:57
    누군가 분수와 같은 유리수는 밤하늘의 별들과 같다고 말했습니다;
  • 4:57 - 5:01
    그럼 무리수는 그냥 암흑과 같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 5:01 - 5:07
    또한 칸토어는 무한집합에 대해서, 원래 집합의 모든 부분집합으로 만든 새로운 집합은
  • 5:07 - 5:12
    원래 집합보다 더 큰 무한대를 표현한다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이말은 여러분들이 하나의 무한대를 가지고 있다면,
  • 5:12 - 5:18
    언제든지 그 부분집합으로 더 큰 집합을 만들수 있고,
  • 5:18 - 5:22
    그렇게 계속해서 반복해서 정말 더 큰 집합을 계속 만들수 있습니다.
  • 5:22 - 5:26
    그래서 서로 다른 크기의 무한대 집합이 무한히 많습니다.
  • 5:26 - 5:31
    이런 이야기가 잘 이해가 안되더라도 걱정마세요. 칸토어가 살았던 시대의 위대한 수학자들도
  • 5:31 - 5:35
    이말에 매우 당황했으니까요. 그분들도 이런 무한대를 별볼일 없는것으로 취급해서
  • 5:35 - 5:38
    이런 개념없이 수학을 하려고 했으니까요.
  • 5:38 - 5:42
    칸토어 조차도 이런 개념 때문에 비난받아 우울증으로 고통 받기도 했습니다.
  • 5:42 - 5:46
    그리고 인생의 절반을 정신병원을 오가면서 살았습니다.
  • 5:46 - 5:51
    하지만 결국 그의 생각은 맞았습니다. 오늘날, 그의 생각은 중요하고 위대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5:51 - 5:56
    모든 수학자들은 이런 생각들을 인정하고, 모든 학교에서 가르칩니다.
  • 5:56 - 5:58
    그리고 제가 여러분에게 불과 몇분만에 그 생각을 설명하기도 합니다.
  • 5:58 - 6:01
    아마도 언젠가는 그 생각들이 상식이 되는 날이 올겁니다.
  • 6:01 - 6:06
    더 많은 생각들이 그러겠죠. 우리는 단지 소수 집합은 전체 숫자의
  • 6:06 - 6:10
    집합보다 더 크다라는 점을 말했습니다. 칸토어는 이런 두개의 무한대 사이에
  • 6:10 - 6:14
    크기가 다른 무한대가 있는지를 궁금해했습니다. 없다고 생각했지만 증명 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 6:14 - 6:18
    칸토어의 추측은 연속체 가설(Continuum Hypothesis)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 6:18 - 6:24
    1900년에 유명한 수학자 데이비드 힐버트(David Hilbert)가 연속체 가설을
  • 6:24 - 6:26
    수학분야에서 풀리지 않은 가장 중요한 문제로 만들었습니다.
  • 6:26 - 6:32
    20세기에 와서 전혀 기대하지 않았던 패러다임이 깨지는 방법으로 이 문제의 해결책을 보게 되었습니다.
  • 6:32 - 6:38
    1920년대에, 쿠르트 괴델(Kurt Gödel)은 연속체 가설이 틀렸다고는 증명할수 없음을 증명했습니다.
  • 6:38 - 6:43
    그리고 1960년대에 폴 코헨(Paul J. Cohen)이 연속체 가설이 사실이라는 것을 증명할 수 없다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 6:43 - 6:48
    두가지 증명을 종합해보면, 수학에는 답할수 없는것도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6:48 - 6:50
    정말 놀라운 결론이죠.
  • 6:50 - 6:53
    수학은 사람의 이성적인 판단이 표현하는 최고점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 6:53 - 6:57
    하지만 수학도 한계가 있다는 것을 이제 알았습니다.
  • 6:57 - 7:01
    그래도 여전히 수학은 사람들이 뭔가를 생각하는데 있어 아주 놀라운 도구입니다.
Title:
무한대는 얼마나 클까?
Speaker:
Dennis Wildfogel
Description:

전체 강의 보기: http://ed.ted.com/lessons/how-big-is-infinity

기본적인 집합론을 이용해서 정신착란에 빠질만한 무한대의 무한성을 알아봅니다. 그리고 이런 생각들이 수학에도 답을 할 수 없는 질문이 있다는 것을 설명합니다.

데니스 윌포겔 강의(Dennis Wildfogel, animation by Augenblick Studios.)

more » « less
Video Language:
English
Team:
closed TED
Project:
TED-Ed
Duration:
07:13
Dimitra Papageorgiou approved Korean subtitles for How big is infinity?
K Bang accepted Korean subtitles for How big is infinity?
K Bang commented on Korean subtitles for How big is infinity?
K Bang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big is infinity?
K Bang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big is infinity?
Retired user added a translation

Korean subtitles

Revi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