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VTT 00:00:00.362 --> 00:00:02.577 옥스포드 영어 사전에서 제가 가장 좋아하는 단어는 00:00:02.577 --> 00:00:06.138 "악덕 정객(snollygoster)"이라는 단어입니다. 00:00:06.138 --> 00:00:07.559 발음이 재미있기 때문이죠. 00:00:07.559 --> 00:00:09.304 이 단어가 뜻하는 바는 00:00:09.304 --> 00:00:12.159 "정직하지 못한 정치인"이죠. 00:00:12.159 --> 00:00:13.407 19세기 신문 편집자 가운데는 00:00:13.407 --> 00:00:16.015 이 단어를 훨씬 더 좋게, 이렇게 평가한 사람도 있긴 합니다. 00:00:16.015 --> 00:00:19.046 ."스널리고스터는 정당이나, 정치 상황, 원칙과는 상관없이 00:00:19.046 --> 00:00:22.231 선거에서 이길 수만 있다면 00:00:22.231 --> 00:00:23.813 기념비적인 토크노피칼 어슘넌시(talknophical assumnancy)의 힘에 따라 * talknophical assumnancy : 사전에 없는 단어로 말도 안된다는 의미로 만들어 낸 단어. 말도 안되는 말로 사람들을 현혹시킨다 정도의 의역. 00:00:23.813 --> 00:00:25.962 거기에 누가 있건 00:00:25.962 --> 00:00:29.654 달려가 공직을 좇는 사람이다."라고요. NOTE Paragraph 00:00:29.654 --> 00:00:31.367 (웃음) NOTE Paragraph 00:00:31.367 --> 00:00:33.224 저는 여기서 "토크노피컬(talknophical)"이란 단어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모릅니다. 00:00:33.224 --> 00:00:34.639 뭔가 뜻이 있는 말이겠죠. 00:00:34.639 --> 00:00:37.675 중요한 것은 말이 정치의 중심에 자리한다는 점입니다. 00:00:37.675 --> 00:00:41.534 모든 정치인들은 말을 조절하고 잘 해야 한다는 걸 알고 있어요. NOTE Paragraph 00:00:41.534 --> 00:00:44.367 예를 들어 보자면, 1771년 부터 00:00:44.367 --> 00:00:48.911 영국 의회는 토론장에서 사용된 단어를 00:00:48.911 --> 00:00:52.105 있는 그대로 보도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00:00:52.105 --> 00:00:54.534 이것은 사실, 브라스 크로스비라는 비범한 사람의 00:00:54.534 --> 00:00:57.865 용감함 덕분이었습니다. 00:00:57.865 --> 00:00:59.767 그는 의회의 인기인이었죠. 00:00:59.767 --> 00:01:01.710 이 사람은 런던 타워로 보내져 00:01:01.710 --> 00:01:02.967 투옥되었는데, 00:01:02.967 --> 00:01:05.799 굉장히 용감했어요. 00:01:05.799 --> 00:01:08.327 사람들의 인기를 끌 만큼 용감해서 00:01:08.327 --> 00:01:11.071 결국에는 런던에서 대단한 지지를 얻어 승리합니다. 00:01:11.071 --> 00:01:13.575 몇 년도 지나지 않아 00:01:13.575 --> 00:01:15.959 "브라스만큼 대담한"이라는 표현을 처음으로 사용한 00:01:15.959 --> 00:01:18.671 기록이 있습니다. 00:01:18.671 --> 00:01:20.607 많은 사람들이 그것은 원칙에 충실했던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00:01:20.607 --> 00:01:22.575 그렇지 않습니다. 그건 언론의 자유를 쟁취하려고 00:01:22.575 --> 00:01:25.551 운동가의 역할에 충실한 거에요. NOTE Paragraph 00:01:25.551 --> 00:01:27.127 말과 정치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00:01:27.127 --> 00:01:29.679 여러분들께 보여드리기 위해 00:01:29.679 --> 00:01:32.279 독립 직후 미국의 경우로 00:01:32.279 --> 00:01:34.758 되돌아 가보려고 합니다. 00:01:34.758 --> 00:01:36.735 사람들은 자신들의 지도자인 죠지 워싱톤을 00:01:36.735 --> 00:01:39.631 뭐라고 불러야 할지 고민에 빠졌습니다. 00:01:39.631 --> 00:01:40.990 답이 없었죠. 00:01:40.990 --> 00:01:43.869 연방국가의 수장을 뭐라고 부를까요? NOTE Paragraph 00:01:43.869 --> 00:01:47.104 이것은 오랜동안 의회에서 논의되었죠. 00:01:47.104 --> 00:01:49.472 상정된 모든 종류의 제안이 있었는데 00:01:49.472 --> 00:01:50.929 그걸로 충분했을 겁니다. 00:01:50.929 --> 00:01:52.558 어떤 사람들은 00:01:52.558 --> 00:01:55.007 "워싱톤의 최고 행정수반"이라고 부르고 싶어했죠. 00:01:55.007 --> 00:01:57.457 어떤 이들은 "죠지 워싱톤 전하"라고 부르고 싶어했고 00:01:57.457 --> 00:02:04.486 또 어떤 사람들은 "미합중국 국민의 자유수호가"라고 부르고 싶어했고요. 00:02:04.486 --> 00:02:06.064 그렇게 복잡할건 없죠. 00:02:06.064 --> 00:02:08.599 일부는 그저 왕이라고 칭하려고 했어요. 00:02:08.599 --> 00:02:10.095 사람들은 충분히 논의했고 시도도 했다고 생각한거죠. 00:02:10.095 --> 00:02:11.591 그들은 충분히 왕권적이진 않아서 00:02:11.591 --> 00:02:13.425 사람들이 정해진 기간동안 일할 왕을 뽑는다는 00:02:13.425 --> 00:02:15.215 생각을 가진겁니다. 00:02:15.215 --> 00:02:16.744 물론, 그렇게 갈 수도 있었지요. NOTE Paragraph 00:02:16.744 --> 00:02:19.327 사실은 모든 사람들이 적잖이 지루해졌어요. 00:02:19.327 --> 00:02:21.207 논란이 3주나 계속 되었으니까요. 00:02:21.207 --> 00:02:22.855 제가 한 불쌍한 상원의원의 일기를 읽은 적이 있어요. 00:02:22.855 --> 00:02:25.374 이 사람은 논의에 계속 불려온건데, "여전히 같은 논의"라고 적었습니다. 00:02:25.374 --> 00:02:28.367 이렇게 지체되고 지루해진 이유는 00:02:28.367 --> 00:02:31.359 하원이 상원의 의견에 반대했기 때문이에요. 00:02:31.359 --> 00:02:34.624 하원은 워싱톤이 권력에 도취되지 않기를 00:02:34.624 --> 00:02:36.313 바랐던 겁니다. 00:02:36.313 --> 00:02:37.390 워싱톤이든 그 후계자든, 일시적이라도 왕이라는 생각을 불식시키려고 00:02:37.390 --> 00:02:40.559 왕이란 칭호를 쓰고 싶지 않았습니다. NOTE Paragraph 00:02:40.559 --> 00:02:43.744 그래서 생각해낼 수 있는 한, 가장 보잘 것 없고, 빈약해 보이면서도 00:02:43.744 --> 00:02:46.631 동정받을 만한 칭호를 주고 싶었던거죠. 00:02:46.631 --> 00:02:53.024 그 호칭은 "대통령(President)"이었습니다. 00:02:53.024 --> 00:02:55.830 대통령이라.. 그들이 만든 칭호는 아니고 이미 존재하던 명칭이었죠. 00:02:55.830 --> 00:02:58.927 그건 그저, 회합을 주재하는 사람이란 뜻이었어요. 00:02:58.927 --> 00:03:00.944 그건 그저 위원회의 장과 같은거였어요. 00:03:00.944 --> 00:03:02.434 그 명칭은 "배심원장"이나 "감독관"에 비해서 00:03:02.434 --> 00:03:04.607 훨씬 더 위엄이 있거나 그런 건 아니었어요. 00:03:04.607 --> 00:03:07.273 경우에 따라서 식민지역의 작은 협의회나 지방정부 같은 것의 00:03:07.273 --> 00:03:10.679 위원장(president)은 있었지만, 대통령이 정말 어떤 특별한 명칭은 아니었죠. NOTE Paragraph 00:03:10.679 --> 00:03:12.624 사실 그게 상원이 반대한 이유였어요. 00:03:12.624 --> 00:03:16.424 상원은 그 명칭은 정말 우습다. 그러니 그를 대통령(President)이라고 부를 수는 없다고 했죠. 00:03:16.424 --> 00:03:19.775 이 사람은 나가서 외국의 고위 관료와 만나 조약도 맺어야 했거든요. 00:03:19.775 --> 00:03:21.614 이 사람이 그런 우스운 호칭을 가지고 있으면 00:03:21.614 --> 00:03:23.424 누가 그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겠어요, 00:03:23.424 --> 00:03:27.519 미합중국의 "감독관(president)"? NOTE Paragraph 00:03:27.519 --> 00:03:31.335 3주 간의 격론 끝에, 결국 00:03:31.335 --> 00:03:35.043 상원이 굴복했죠. 00:03:35.043 --> 00:03:40.250 이들은 당분간 대통령(president)이라는 호칭을 쓰기로 했지만 00:03:40.250 --> 00:03:43.682 그 대신, 상원은 거기에 동의하지 않았다는 걸 명확히 00:03:43.682 --> 00:03:46.510 해두려고 했어요. 00:03:46.510 --> 00:03:52.240 문명 국가의 소신과 관행에 맞는 예의바른 존경심을 갖추려고 한거죠. 00:03:52.240 --> 00:03:56.031 정부가 공화정 형태가 됐건, 왕정 형태가 됐건, 00:03:56.031 --> 00:03:57.940 어떤 문화와 연결되어 있건, 00:03:57.940 --> 00:04:02.269 "최고 행정장관실"이라는 명칭을 통해 -- 00:04:02.269 --> 00:04:04.419 빌어먹을 "대통령(president)"이라는 호칭말고요 -- 존경을 담아 호칭을 정하려 했던거죠. 00:04:04.419 --> 00:04:08.128 그리고, 외국과의 교류에 있어서 00:04:08.128 --> 00:04:12.171 "미합중국 국민의 전하"는 00:04:12.171 --> 00:04:15.829 홀로 떨어진 모양새로 상처받지 않아도 되도록 말이죠. 00:04:15.829 --> 00:04:19.589 즉, '우리는 빌어먹을 이상한 놈처럼 보이기 싫다' 라는 거였어요. NOTE Paragraph 00:04:19.589 --> 00:04:22.731 여기서 세가지 재미있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00:04:22.731 --> 00:04:25.109 우선 -- 이게 제가 제일 좋아하는 건데요 -- 00:04:25.109 --> 00:04:27.549 제가 찾아본 한, 00:04:27.549 --> 00:04:32.860 상원은 공식적으로 결코 대통령(president)라는 호칭을 인준한 적이 없습니다. 00:04:32.860 --> 00:04:35.931 버락 오바마, 오바마 대통령은, 덤으로 얻은 시간 동안만 자리에 있는 거에요. 00:04:35.931 --> 00:04:39.794 그저 상원이 움직여주기를 바라며 기다리고 있는거죠. 00:04:39.794 --> 00:04:41.666 두번째로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00:04:41.666 --> 00:04:44.185 '정부가 이건 잠정적인 결정'이라고 말하면 00:04:44.185 --> 00:04:47.543 (웃음) -- 00:04:47.543 --> 00:04:52.408 앞으로 223년을 기다려야 할지도 모른다는거죠. NOTE Paragraph 00:04:52.408 --> 00:04:53.888 하지만 세번째로 알 수 있는 것, 00:04:53.888 --> 00:04:55.336 이건 정말 중요한 거죠. 00:04:55.336 --> 00:04:57.097 여기서는 정말 정신차려 들으시길 바랍니다. 00:04:57.097 --> 00:05:01.835 이 명칭, 미합중국의 대통령이란 호칭이 00:05:01.835 --> 00:05:06.159 요즘에는 그리 우습게 들리지 않죠? 00:05:06.159 --> 00:05:09.172 5천기 이상의 핵탄두를 00:05:09.172 --> 00:05:11.440 뜻대로 관장하고 00:05:11.440 --> 00:05:13.689 세계에서 가장 큰 경제 규모를 갖고 00:05:13.689 --> 00:05:17.398 무인 비행기 편대 등등 이런 모든 것에 권한을 가집니다. 00:05:17.398 --> 00:05:24.241 현실과 역사는 그 명칭에 위엄을 가져다 주었습니다. 00:05:24.241 --> 00:05:26.073 그러니 결국 상원이 이긴거죠. 00:05:26.073 --> 00:05:28.585 상원은 결국 존경심으로 가득찬 호칭을 얻었습니다. 00:05:28.585 --> 00:05:31.913 그리고 상원이 걱정했던 또다른 문제, 00:05:31.913 --> 00:05:33.952 그러니까, 그 당시에는 왕따같이 외톨이가 되는 문제였는데 00:05:33.952 --> 00:05:36.571 지금은, 얼마나 많은 나라가 대통령(president)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는지 아세요? 00:05:36.571 --> 00:05:39.169 147개국입니다. 00:05:39.169 --> 00:05:40.833 전부 다, 5천개 이상의 핵탄두를 가진 사람하고 00:05:40.833 --> 00:05:45.673 비슷하게 불리우길 바라기 때문이죠. NOTE Paragraph 00:05:45.673 --> 00:05:48.257 그러니 결국, 상원이 이기고 00:05:48.257 --> 00:05:52.249 하원이 진겁니다. 00:05:52.249 --> 00:05:54.665 왜냐하면 지금 미합중국의 대통령이라고 불릴 때, 00:05:54.665 --> 00:05:56.297 어느 누구도 보잘 것 없다고 00:05:56.297 --> 00:06:00.881 여기지 않으니까요. 00:06:00.881 --> 00:06:03.273 이 점이 여러분들이 가져 가실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교훈입니다. 00:06:03.273 --> 00:06:04.817 그리고 제가 여러분들께 남겨드리고 싶은 말씀이에요. 00:06:04.817 --> 00:06:07.881 정치인들은 현실을 만들어 가거나, 조정하려고 00:06:07.881 --> 00:06:11.332 단어를 선택하고 사용하지만, 00:06:11.332 --> 00:06:13.953 사실 단어의 의미가 현실을 바꾸기 보다는 00:06:13.953 --> 00:06:16.536 현실이 훨씬 더 강하게 단어의 의미를 바꿉니다. NOTE Paragraph 00:06:16.536 --> 00:06:18.216 대단히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