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00:00:01,793 --> 00:00:06,549 사람들은 죽는 것보다 곤충을 더 무서워 합니다. 2 00:00:06,549 --> 00:00:07,651 (웃음) 3 00:00:07,651 --> 00:00:12,223 요즘 인터넷에서 볼 수 있는 베스트 유머 시리즈 보다 4 00:00:12,223 --> 00:00:19,197 먼저 등장한 1973년 "목록에 관한 책" 설문조사에 의하면 5 00:00:19,197 --> 00:00:23,805 오로지 고소공포증과 대중연설 만이 6 00:00:23,829 --> 00:00:27,704 다리 여섯 개 달린 공포의 존재를 앞질렀다고 합니다. 7 00:00:27,704 --> 00:00:31,436 만약 그 목록에 거미가 있었다면 8 00:00:31,460 --> 00:00:35,916 거미와 곤충의 순위를 합한 것이 아마 일등을 차지 했을겁니다. 9 00:00:35,916 --> 00:00:38,833 저는 곤충을 무서워하지 않습니다. 10 00:00:38,833 --> 00:00:41,459 저는 정말로 곤충을 사랑합니다. 11 00:00:41,459 --> 00:00:44,958 저는 곤충이 흥미롭고 아릅답다고 생각합니다. 12 00:00:44,958 --> 00:00:46,596 어떤 것들은 귀엽기까지 해요. 13 00:00:46,620 --> 00:00:47,641 (옷음) 14 00:00:47,641 --> 00:00:50,089 그렇게 생각하는 사람은 저 뿐만이 아닙니다. 15 00:00:50,089 --> 00:00:53,209 지난 몇세기 동안 찰스 다윈부터 E.O. 윌슨까지 16 00:00:53,233 --> 00:00:55,809 몇몇의 위대한 과학자들은 17 00:00:55,809 --> 00:01:01,550 지구상의 가장 작은 이들의 연구에서 영감을 얻었습니다. 18 00:01:02,661 --> 00:01:04,362 어째서 그런걸까요? 19 00:01:04,386 --> 00:01:07,431 우리는 왜 곤충에게 자꾸 관심을 가지는 것일까요? 20 00:01:08,055 --> 00:01:12,654 물론 부분적으로는 곤충이 가진 굉장한 영향력 때문이고요, 21 00:01:12,678 --> 00:01:15,665 다른 어떤 동물보다도 개체수가 많습니다. 22 00:01:15,689 --> 00:01:18,893 아직까지 곤충이 몇 종이나 존재하는지조차 알지 못합니다. 23 00:01:18,893 --> 00:01:21,564 항상 새로운 종의 곤충이 발견되기 때문이죠. 24 00:01:21,564 --> 00:01:25,193 적어도 만 종이 존재하고 아마 천만 종 정도까지 있을 겁니다. 25 00:01:25,223 --> 00:01:29,485 한 달에 한 곤충을 선정해 달력을 만들어도 26 00:01:29,509 --> 00:01:33,494 같은 종이 겹치지 않고 8만년치나 만들수 있는 겁니다. 27 00:01:33,518 --> 00:01:36,302 (웃음) 28 00:01:36,302 --> 00:01:39,330 팬더나 아기고양이 저리가라 할 정도예요! 29 00:01:39,330 --> 00:01:40,482 (웃음) 30 00:01:40,506 --> 00:01:44,094 좀 더 진지하게 생각해보면, 곤충은 우리 삶에 필수적인 존재입니다. 31 00:01:44,094 --> 00:01:45,785 곤충이 있어야 합니다. 32 00:01:45,785 --> 00:01:48,869 대략 우리가 먹는 음식 중 3분의 1은 33 00:01:48,893 --> 00:01:52,187 꽃가루 매개 곤충에 의해 만들어 진 것들입니다. 34 00:01:52,852 --> 00:01:56,199 과학자들은 곤충을 통해 인간의 신경계 구조부터 35 00:01:56,223 --> 00:01:59,124 유전자 및 DNA의 원리에 이르는 거의 모든 것에 대해 36 00:01:59,148 --> 00:02:01,848 기본적인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37 00:02:01,848 --> 00:02:04,386 제가 곤충에 대해 가장 좋아하는 점은 38 00:02:04,386 --> 00:02:07,409 그들을 통해 인간의 행태를 알 수 있다는 것입니다. 39 00:02:07,409 --> 00:02:10,596 곤충은 인간이 하는 행동들을 다 하는 것 같아 보입니다. 40 00:02:10,620 --> 00:02:14,159 만나고, 짝을 이루고, 싸우고, 헤어지기도 합니다. 41 00:02:14,509 --> 00:02:18,570 이들이 하는 것이 꼭 사람들이 하는 사랑과 증오와도 같아 보이죠. 42 00:02:19,665 --> 00:02:24,876 하지만 이러한 행동의 요인은 인간의 것과는 매우 다릅니다. 43 00:02:24,900 --> 00:02:27,474 그리고 그 차이점은 매우 놀랍습니다. 44 00:02:27,834 --> 00:02:31,511 특히 그 차이는 우리가 그 무엇보다 관심을 갖는 45 00:02:31,511 --> 00:02:34,056 성관계에서 두드러집니다. 46 00:02:34,142 --> 00:02:36,975 지금도, 앞으로도 변함없이 제 의견을 고수할 수 있을것 같은데요 47 00:02:36,999 --> 00:02:39,769 충격적인 발언처럼 들릴지 모르지만 48 00:02:39,769 --> 00:02:44,296 저는 곤충의 성관계가 인간의 것보다 훨씬 더 흥미롭다고 생각합니다. 49 00:02:44,320 --> 00:02:46,107 (웃음) 50 00:02:46,131 --> 00:02:49,870 우리가 보는 야생적인 다양함은 51 00:02:49,870 --> 00:02:54,857 우리가 가진 성역할 대한 고정관념을 깨기도 합니다. 52 00:02:55,663 --> 00:02:57,314 그 일례로 53 00:02:57,338 --> 00:03:00,565 많은 곤충들은 생식을 위해 성관계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 54 00:03:00,565 --> 00:03:04,455 암컷 진딧물은 짝짓기를 하지 않고 자가 복제를 통해 새끼를 만듭니다. 55 00:03:04,455 --> 00:03:07,148 단성(처녀) 생식인 것이죠. 56 00:03:07,148 --> 00:03:09,276 장미 넝쿨 위에다 말예요. 57 00:03:09,276 --> 00:03:11,446 (웃음) 58 00:03:11,470 --> 00:03:13,011 곤충이 성관계를 가질 때는 59 00:03:13,035 --> 00:03:16,292 정자마저도 인간의 것보다 훨씬 흥미롭습니다. 60 00:03:16,316 --> 00:03:18,075 초파리 중에는 61 00:03:18,075 --> 00:03:22,192 자신의 몸길이보다 더 긴 정자를 가진 놈도 있습니다. 62 00:03:22,216 --> 00:03:26,476 정자의 길이를 두고 수컷끼리 우열을 겨루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63 00:03:26,483 --> 00:03:31,280 딱정벌레에게서 볼 수 있는 뿔 같은 무기로 우열을 가리기도 하지만 64 00:03:31,280 --> 00:03:35,797 하지만 일단 정자로 짝짓기를 한 뒤 그 우열을 가릅니다. 65 00:03:36,146 --> 00:03:40,606 잠자리나 실잠자리의 성기는 꼭 맥가이버 칼처럼 생겼습니다. 66 00:03:40,606 --> 00:03:44,189 그 안의 각종 칼날이 뻗어 나온 모양을 하고 말입니다. 67 00:03:44,189 --> 00:03:45,863 (웃음) 68 00:03:45,887 --> 00:03:49,807 이 위엄한 장치를 국자처럼 사용해 69 00:03:49,807 --> 00:03:54,794 암컷의 몸에 남아있는 다른 수컷의 정자를 제거합니다. 70 00:03:54,818 --> 00:03:56,885 (웃음) 71 00:03:56,909 --> 00:03:59,666 이를 통해 우리가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요? 72 00:03:59,666 --> 00:04:05,309 (웃음) 73 00:04:05,333 --> 00:04:10,343 그래요, 우리가 이를 배워 따라하거나 74 00:04:10,367 --> 00:04:13,891 전례로 삼아야 된다는 것이 아닙니다. 75 00:04:13,915 --> 00:04:17,015 그냥 아는 것만으로 아마 충분하실 거예요. 76 00:04:17,015 --> 00:04:20,839 혹시 제가 곤충간에 성적 상호포식이 만연하다는 얘기도 했나요? 77 00:04:20,863 --> 00:04:23,191 그러니까 제 요지는 따라하자는 것이 아닙니다. 78 00:04:23,215 --> 00:04:27,762 제 생각에 곤충들이 하는 것 중 유심히 보아야 할 것은 79 00:04:27,762 --> 00:04:31,239 인간이 정한 성역할과 규칙의 파괴입니다. 80 00:04:31,239 --> 00:04:36,202 사람들은 자연은 당연히 1950년대 버전의 시트콤에서나 나오는 81 00:04:36,202 --> 00:04:38,827 남자는 이렇고 여자는 저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82 00:04:38,851 --> 00:04:42,004 남성들은 항상 지배적이고 공격적이어야 된다고 여기고 83 00:04:42,028 --> 00:04:44,350 여성은 수동적이고 수줍어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84 00:04:44,350 --> 00:04:46,604 그렇지만 곤충세계는 그렇지 않습니다. 85 00:04:46,606 --> 00:04:51,568 예를 들면 메뚜기와 귀뚜라미의 친척 관계인 여치는 86 00:04:51,568 --> 00:04:55,035 수컷이 짝짓기를 할 상대를 매우 까다롭게 고릅니다. 87 00:04:55,059 --> 00:04:58,284 왜냐하면 짝짓기 동안 정자만 옮겨 주는 것이 아니라 88 00:04:58,308 --> 00:05:02,774 결혼 선물을 암컷에게 주기 때문입니다. 89 00:05:02,798 --> 00:05:06,475 보시고 계신 사진에는 두 여치가 짝짓기를 하고 있습니다. 90 00:05:06,499 --> 00:05:08,819 양쪽 사진 모두 오른쪽이 수컷입니다. 91 00:05:08,843 --> 00:05:12,423 칼처럼 뾰족 튀어 나온 것이 암컷의 알 낳는 기관입니다. 92 00:05:13,126 --> 00:05:15,653 하얀 공 처럼 보이는 것이 정자이고요, 93 00:05:15,677 --> 00:05:19,063 녹색 공처럼 보이는 것이 "결혼 선물" 입니다. 94 00:05:19,087 --> 00:05:22,453 수컷의 몸에서 생산된 이것은 95 00:05:22,477 --> 00:05:24,655 만들어 지는 과정이 매우 힘듭니다. 96 00:05:24,679 --> 00:05:27,387 그 무게는 수컷의 몸의 1/3 가량을 차지합니다. 97 00:05:27,805 --> 00:05:31,039 그럼 여기서 잠시 생각할 시간을 드릴게요. 98 00:05:31,039 --> 00:05:34,706 만약 인간 남성들이 매번 관계를 가질 때마다 99 00:05:34,730 --> 00:05:41,697 50, 60, 또는 70 파운드나 되는 것을 만들어 내야 한다면 어떨까 말이죠. 100 00:05:41,697 --> 00:05:44,312 (웃음) 101 00:05:44,312 --> 00:05:47,871 그렇죠. 아마 그리 자주 관계를 갖을 수 없을 거예요. 102 00:05:47,871 --> 00:05:49,192 (웃음) 103 00:05:49,216 --> 00:05:51,617 실제로 여치도 그러하답니다. 104 00:05:52,343 --> 00:05:54,255 그렇기 때문에 수컷 여치는 105 00:05:54,279 --> 00:05:58,087 까다롭게 암컷을 고르는 겁니다. 106 00:05:58,111 --> 00:06:01,191 누구한테 결혼선물을 줄 것인지 말입니다. 107 00:06:01,215 --> 00:06:03,291 이 결혼선물은 영양가가 매우 풍부해서 108 00:06:03,291 --> 00:06:06,089 암컷이 짝짓기를 하는 동안과 마친 후에 먹습니다. 109 00:06:06,089 --> 00:06:08,224 더 큰 것 일수록 수컷에게 더 유리합니다. 110 00:06:08,224 --> 00:06:11,210 이것이 클수록 더 긴 시간 정자가 암컷의 몸에 머물게 되고 111 00:06:11,210 --> 00:06:13,252 수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112 00:06:13,341 --> 00:06:17,871 따라서 수컷은 짝짓기를 섣불리 하지 않습니다. 113 00:06:17,895 --> 00:06:21,420 한편 암컷은 굉장히 공격적이고 적극적입니다. 114 00:06:21,444 --> 00:06:25,760 영양가 풍부한 이 결혼선물을 더 많이 가지려고 말입니다. 115 00:06:25,784 --> 00:06:29,579 이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타입의 성역할은 아닙니다. 116 00:06:30,974 --> 00:06:32,685 더 나아가 이야기하면 보편적으로 117 00:06:32,709 --> 00:06:37,773 수컷은 많은 곤충들의 삶에 그다지 중요한 역할을 갖고 있지 않습니다. 118 00:06:37,797 --> 00:06:42,226 벌이나 말벌, 개미와 같이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곤충들을 보면 119 00:06:42,250 --> 00:06:44,479 여러분이 쉽게 접하는 개체 곤충들이 120 00:06:44,479 --> 00:06:47,308 왔다갔다 하며 설탕을 나르는 개미들이나 121 00:06:47,308 --> 00:06:50,347 꽃 사이를 분주히 날아다니는 꿀벌들 122 00:06:50,371 --> 00:06:52,670 거의 모두가 암컷입니다. 123 00:06:53,300 --> 00:06:57,876 인간은 수 천년간이나 이를 이해하기 어려워합니다. 124 00:06:57,900 --> 00:07:02,972 고대 그리스인들은 꿀벌들 사이에 계급이 존재함을 알게 되었습니다. 125 00:07:02,972 --> 00:07:07,663 일벌들보다 덩치큰 수벌들이 게으른 것이 못마땅했습니다. 126 00:07:07,663 --> 00:07:10,410 왜냐하면 이들은 짝짓기 시기가 올 때까지 그저 127 00:07:10,410 --> 00:07:12,295 벌집주변을 맴돌 뿐이기 때문이죠. 128 00:07:12,319 --> 00:07:14,138 수컷이면서도 하는 일이 없어요. 129 00:07:14,138 --> 00:07:16,231 이들은 짝짓기 때까지 어물쩡 거리며 130 00:07:16,231 --> 00:07:17,998 꽃가루나 과일즙을 나르는 일없이 놉니다. 131 00:07:17,998 --> 00:07:20,652 그리스인들은 이 수벌의 성별을 알아내지 못했습니다. 132 00:07:20,676 --> 00:07:25,227 혼란스웠던 이유는 벌에게 침이 있는 것은 알고 있었는데 133 00:07:25,227 --> 00:07:28,088 그러한 무기를 지닌 존재가 암컷이라는 것을 134 00:07:28,088 --> 00:07:31,395 믿기가 어려웠던 것이죠. 135 00:07:31,705 --> 00:07:34,715 아리스토텔레스 역시 한마디 했습니다. 136 00:07:34,739 --> 00:07:39,327 그가 말을 꺼내길, "만약 침이 있는 것이 수컷이라면," 137 00:07:39,351 --> 00:07:41,817 그런데 그는 혼란스러워졌습니다. 왜냐하면 그의 논리에 따르면, 138 00:07:41,865 --> 00:07:44,834 수컷이 자신들의 영역에 남아 어린 것들을 돌보게 된다는 것이죠. 139 00:07:44,834 --> 00:07:49,002 그리고 그것이 거의 불가능한 일이라고 생각했습니다. 140 00:07:49,026 --> 00:07:51,319 그리고 결론짓기를 만약 한 개체의 벌이 141 00:07:51,319 --> 00:07:53,720 양성의 생식기를 다 가진게 아닐까. 142 00:07:53,720 --> 00:07:55,843 물론 그러한 동물들이 존재합니다만 143 00:07:55,867 --> 00:07:58,120 그는 결국 알아내지 못합니다. 144 00:07:58,744 --> 00:08:02,530 오늘날까지도 예를들어 제 학생들은 145 00:08:02,554 --> 00:08:07,245 곤충을 포함해 눈에 보이는 동물들을 다 수컷이라 칭합니다. 146 00:08:07,585 --> 00:08:11,121 그리고 제가 큰 턱을 지니고 영역을 방어하는 147 00:08:11,145 --> 00:08:14,078 거침없는 개미군단은 모두가 148 00:08:14,102 --> 00:08:17,204 암컷이라는 것을 말해주면 149 00:08:17,228 --> 00:08:19,562 제말을 믿기 어려워 합니다. 150 00:08:19,586 --> 00:08:20,731 (웃음) 151 00:08:20,755 --> 00:08:25,955 특히 개미나 벌을 주제로 한 대다수의 영화들이 152 00:08:25,979 --> 00:08:31,644 곤충 주인공 캐릭터를 남성으로 표현합니다. 153 00:08:31,644 --> 00:08:34,297 그게 여성이라면 무슨 차이가 있겠냐고요? 154 00:08:34,297 --> 00:08:36,128 그냥 영화일 뿐이고 지어낸 이야기에 155 00:08:36,128 --> 00:08:37,980 영화니까 동물들이 사람처럼 말도 하는데 156 00:08:38,004 --> 00:08:41,684 제리 싸인필드(미국 남자 코미디언) 처럼 말하든 무슨 상관이냐고요? 157 00:08:41,708 --> 00:08:43,872 제 생각에 이는 매우 중요한 문제입니다. 158 00:08:43,896 --> 00:08:46,760 뿐만 아니라 더 깊은 문제를 내포한 159 00:08:46,784 --> 00:08:50,913 보건 및 의학의 복합적 요소와 160 00:08:50,937 --> 00:08:53,571 우리 삶의 다른 측면을 부각하는 문제입니다. 161 00:08:53,595 --> 00:08:57,088 여러분들도 알다시피 과학자들은 모형 시스템이라는 것을 이용합니다. 162 00:08:57,112 --> 00:09:00,473 주로 흰쥐나 초파리등을 이용한 실험을 하는데요. 163 00:09:00,497 --> 00:09:05,035 인간을 비롯한 거의 모든 동물들을 대체하는 종류라 볼 수 있습니다. 164 00:09:05,035 --> 00:09:08,003 기본적 논리는 인간에게 작용하는 것은 165 00:09:08,003 --> 00:09:10,438 흰쥐에게도 똑같이 작용한다는 전제이지요. 166 00:09:10,438 --> 00:09:13,422 그리고 실제로 실험결과가 그러합니다. 167 00:09:13,422 --> 00:09:17,243 하지만 이를 지나치게 남용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168 00:09:17,924 --> 00:09:20,193 제 생각에 우리는 지금껏 169 00:09:20,217 --> 00:09:24,792 어떤 종이 되었든 수컷을 기본 전제로 하는 모형 시스템을 170 00:09:24,792 --> 00:09:26,915 표준 처럼 생각해 온 것이죠. 171 00:09:26,939 --> 00:09:29,486 그것이 당연한 것처럼 받아들이고 172 00:09:29,510 --> 00:09:32,559 암컷은 표준이 아닌 예외 적인 것 173 00:09:32,583 --> 00:09:36,310 기본적인 연구 이후에나 관심을 가지는 것이라 생각해 왔습니다. 174 00:09:37,692 --> 00:09:40,485 다시 곤충이야기로 돌아가면 175 00:09:40,509 --> 00:09:41,857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176 00:09:41,881 --> 00:09:44,700 인간이 우리 눈 앞의 것을 있는 그대로 보지 못한다는 겁니다. 177 00:09:44,724 --> 00:09:51,160 왜냐하면 세계가 남성 위주로 돌아가고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죠. 178 00:09:51,184 --> 00:09:55,036 그리고 여성은 아주 일부분이나 허드렛일을 하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179 00:09:55,626 --> 00:10:01,065 우리가 그럴 때 자연의 진짜 모습을 놓치게 됩니다. 180 00:10:01,588 --> 00:10:07,881 인간을 포함한 동식물의 삶이 다양하고 다를 수 있다는 점을 181 00:10:07,881 --> 00:10:10,001 간과하게 됩니다. 182 00:10:10,025 --> 00:10:13,494 이 때문에 많은 의학 연구들이 남성을 기본전제로 한 모델을 이용해 왔고 183 00:10:13,494 --> 00:10:17,189 지금에 와서야 그것이 문제임을 인지하게 되었습니다. 184 00:10:17,213 --> 00:10:21,610 우리가 어떤 결과를 남녀에게 똑같이 적용할 때 말입니다. 185 00:10:22,760 --> 00:10:25,287 마지막으로 제가 곤충에서 정말 좋아하는 점은 186 00:10:25,311 --> 00:10:28,186 많은 사람들이 소름끼치게 여기는 것중 하나인데 187 00:10:28,186 --> 00:10:30,363 우리가 생각하기에 곤충은 작은 뇌를 가졌고 188 00:10:30,387 --> 00:10:33,780 인지하는 능력이 매우 낮다고 여기는데 189 00:10:34,038 --> 00:10:39,074 그들의 행동은 매우 복잡하고 묘하지만 뇌의 구조는 그렇지 않습니다. 190 00:10:39,860 --> 00:10:45,037 따라서 곤충을 사람의 축소판으로 생각할 수는 없어요. 191 00:10:45,061 --> 00:10:48,606 왜냐하면 곤충은 우리가 하는 것들을 다른 방식으로 하기 때문입니다. 192 00:10:48,630 --> 00:10:52,730 곤충을 의인화하기가 어렵다는 점을 저는 정말 좋아합니다. 193 00:10:52,754 --> 00:10:56,277 그들을 보면서 마치 아주 비쩍 마르고 다리가 여섯개 달린 194 00:10:56,301 --> 00:10:58,439 작은 사람들로 생각하기 어렵다는 점 말입니다. 195 00:10:58,927 --> 00:11:00,188 (웃음) 196 00:11:00,212 --> 00:11:03,757 대신 그들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야 해요. 197 00:11:03,781 --> 00:11:08,914 왜냐하면 곤충은 어떤 것이 정상이고 자연적인 것인지를 묻게하니까요. 198 00:11:09,527 --> 00:11:14,160 사람들은 소설을 쓰고 가상의 현실을 이야기 합니다. 199 00:11:14,184 --> 00:11:17,482 초능력의 존재에 대해서 추측해보고 200 00:11:17,506 --> 00:11:20,939 우리 틈에 걸어다니고 있을지 모를 귀신과 같은것들 말이죠. 201 00:11:22,537 --> 00:11:25,727 다른 세계에 대한 매력은 202 00:11:25,727 --> 00:11:31,911 사람들이 초자연적인 것들을 탐구하고픈 호기심의 일부분입니다. 203 00:11:32,376 --> 00:11:34,629 그렇지만 제가 느끼기에는 204 00:11:34,629 --> 00:11:39,272 살아있는 곤충을 볼 수 있는데 굳이 죽은 사람을 볼 필요가 있나요? 205 00:11:39,272 --> 00:11:40,424 감사합니다 206 00:11:40,424 --> 00:11:44,424 (박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