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아침입니다. 마법이란 아주 멋진 것이죠. 현실에 앞서 있게 해주는 것입니다. 과학이 미래에나 현실이 되게 할 것을 오늘 바로 가능하게 해주니까요. 사이버 마술사로서, 저는 공상과 과학을 융합해 미래의 기술들이 우리에게 어떤 경험을 안겨주게 될지 미리 느껴볼 수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구글의 "안경 프로젝트"에 대해 들어본 바 있을 겁니다. 새로운 기술이죠. 이것을 통해 보면, 여러분들이 바라보는 세상이 데이타로 증강됩니니다. 지명, 기념물, 건물, 언젠가는 아마 여러분을 스쳐 지나가는 낯선 사람의 이름까지도 알 수 있게 될지도 모릅니다. 이것이 저의 "환상 안경"입니다. 좀 크죠. 이건 시제품입니다. 이 안경을 통해 보면, 여러분들은 사이버 망상가의 마음 속을 엿볼 수 있을겁니다. 무슨 뜻인지 보여드리지요. 카드놀이를 하는 겁니다. 어떤 카드라도 좋습니다. 이렇게요. 표시를 해두겠습니다. 그래야 다시 볼 때 알아볼 수 있으니까요. 됐습니다. 아주 중요한 표시죠. 이제 다시 카드 뭉치속에 넣습니다. 가운데 쯤 넣죠. 이제 시작합니다. (음악) 목소리: 시스템이 준비되었습니다. 이미지를 받고 있습니다. 발표자: 카드 놀이를 하지 않는 분들을 위해 말하자면, 카드 한 벌은 네가지 다른 문양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하트, 클럽, 다이아몬드와 스페이드로요. 카드는 가장 오래된 상징 중 하나이죠. 그리고 다양한 방식으로 해석됩니다. 어떤 이들은 이 문양이 4계절을 나타낸다고 말합니다. 봄, 여름, 가을 그리고 목소리: 제가 가장 좋아하는 계절은 겨울입니다. 발표자: 아, 나도 그래요. 겨울은 마법과 같죠. 변화의 시기이며, 따뜻함이 차가움으로 변하고, 물이 눈으로 변하고 그리고는 사라집니다. 각 문양에는 13개의 카드가 있습니다 (음악) 목소리: 각각의 카드는 음력의 13주기를 나타냅니다. 발표자: 이것은 썰물이고, 여기 이것은 밀물이고, 가운데 것은 달이지요. 목소리: 달은 마법의 가장 강력한 상징 중 하나입니다. 발표자: 한 벌의 카드에는 두가지 색이 있습니다. 빨간색과, 검은색인데 낮에서 밤으로의 계속되는 변화를 나타내죠. 목소리: 마르코, 당신이 그걸 해낼 줄 몰랐네요. (웃음) 발표자: 그리고 한벌이 52장의 카드로 구성된 것은 단순히 우연일까요, 아니면 1년에 52주가 있기 때문일까요? (음악) 목소리: 한 벌의 카드에 있는 점들을 모두 더하면 그 합은 365가 됩니다. 발표자: 아, 365라면 한 해를 구성하는 날들이군요. 매 생일의 사이에 있는 날짜의 숫자죠. 소원을 빌어봅시다 (훅 부는 소리) 목소리: 말하면 소원이 이루어지지 않을 겁니다. 발표자: 사실 제 6번째 생일에 한 벌의 카드를 처음으로 선물 받았었죠. 그 날 이후, 전 세상을 여행하며 아이들에게 마술을 보여주었습니다. 어른들, 남편들과 아내들 뿐 아니라 심지어 왕들과 여왕들에게도요. (박수) 목소리: 그렇다면 이건 누구죠? 발표자: 아, 이간질하는 녀석이군요. 보세요. 일어나지. 조커: 와. 발표자: 파티를 즐길 준비가 되었나? 조커: 준비됐지! 발표자: 가지고 있는 것을 좀 보여줘. 조커: 내 포고 스틱을 보여주지. 발표자: 앗, 조심해. 조커: 우와, 우와, 우와! (음악) 발표자: 그러나 오늘은, 관객이 좀 다르지요. 여러분을 위해 마술을 하는 겁니다. 목소리: 표시된 카드가 발견되었습니다. 발표자: 사람들은 종종 제게 어떻게 마술사가 되었느냐고 묻죠. 9시에 출근해서 5시에 퇴근하는 직업이냐며. 물론 아니죠! 저는 일주일에 7일, 24시간씩 연습해야 합니다. 글쎄 꼭 하루 24시간, 7일 내내 연습해야 한다는 건 아니예요. 7일, 24시간이라는 건 조금 과장이었어요. 그러나 어쨌든 노력을 요하는 일입니다. 이제 어떤 사람들은 그러면 마술은 어떤 사악한, 초자연적인 것의 산물이냐고 묻죠. (웃음) (박수) (음악) 우와. 글쎄, 현재까지는, 아니라고 말합니다. 사실, 독일어로는 나인 나인이죠. (웃음) 마술은 그렇게 심각한게 아니예요. 그렇지만 경고하건데, 여러분이 이처럼 카드를 다룰 수 있는 사람을 만나게 된다면 돈은 걸지 말아야 할 겁니다. (음악) 목소리: 왜 안되죠? 도박에 딱인데. 이길 확률이 4,165 분의 1 이거든요. 발표자: 그렇긴 한데, 내 손이 더 빠르거든요. 우리 같은 사람은 그 확률을 이길 수 있죠. 목소리: 그게 당신의 생일 소원 같군요. 발표자: 이게 사실 저에게 가장 중요한 마지막 카드를 남겨줬죠. 아주 분명한 표식을 가진 것으로요. 여러분이 방금 본 것 어떤 것과도 다릅니다. 목소리: 표시된 카드가 발견되었습니다. 디지털 발표자: 말할 것도 없이 이건 진짜예요. 발표자: 안녕! (음악) 감사합니다. (박수) (박수) 감사합니다 (박수) (박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