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06.979,0:00:11.559 인간의 눈으로 보는 밤의 세계는[br]틀 없는 회색 캔버스와 같습니다. 0:00:11.559,0:00:14.313 이와 반대로 많은 야행성 동물들은 0:00:14.313,0:00:19.599 세부사항, 모양과 색들로 가득찬 [br]풍부하고 다양한 세계를 경험합니다. 0:00:19.599,0:00:23.490 그렇다면 나방과 인간의 [br]차이점은 과연 무엇일까요? 0:00:23.490,0:00:26.398 나방을 비롯한 많은 야행성 동물들은[br]밤에 앞을 볼 수 있습니다. 0:00:26.398,0:00:30.148 그들의 눈들은 부족한 빛을 [br]보충하는데 적응되어 있기 때문이지요. 0:00:30.148,0:00:32.909 야행성동물이든 아니든, 모든 눈은 0:00:32.909,0:00:38.967 광자라고 불리는 빛 입자를 탐지하는데[br]망막의 광수용기에 의존합니다. 0:00:38.967,0:00:42.029 그리고 광수용기는 [br]이 광자들에 대한 정보를 0:00:42.029,0:00:44.739 망막과 뇌의 다른 [br]세포들에게 전달하지요. 0:00:44.739,0:00:46.479 뇌는 그 정보를 추려내고 0:00:46.479,0:00:50.691 눈이 인식하는 환경에 대한 [br]상을 형성합니다. 0:00:50.691,0:00:54.399 빛이 더 밝을 수록 눈에 닿는 [br]광자의 수도 더 많아집니다. 0:00:54.399,0:00:56.369 화창한 날에는 흐리고 [br]달이 뜨지 않는 밤에 비해서 0:00:56.369,0:01:02.650 1억 배 이상의 광자들이 [br]눈에 도달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0:01:02.650,0:01:05.420 어둠 속에서는 단순히 [br]광자가 적기만 한게 아니라 0:01:05.420,0:01:08.890 눈에 안정적으로 도착하지도 못합니다. 0:01:08.890,0:01:11.839 이는 광수용기가 수집하는 정보가 0:01:11.839,0:01:13.450 시간에 따라 계속 변한다는 뜻이고 0:01:13.450,0:01:15.600 따라서 상의 품질도 계속 변합니다. 0:01:15.600,0:01:20.620 어둠 속에서, 무작위로 도달하는[br]소수의 광자들을 포착하는 것은 0:01:20.620,0:01:24.010 대부분의 주행성 동물에게는 [br]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0:01:24.010,0:01:27.841 하지만 야행성 동물에게는[br]간단한 적응의 문제일 뿐입니다. 0:01:27.841,0:01:31.391 이러한 적응들 중 하나는[br]크기의 조절입니다. 0:01:31.391,0:01:35.980 안경원숭이를 예로 들면[br]이들의 눈알은 뇌 만큼이나 크고 0:01:35.980,0:01:39.990 모든 포유류들 중에서[br]머리 대비 눈크기가 가장 큽니다. 0:01:39.990,0:01:45.461 인간이 이와 같은 비율이라면[br]눈 크기가 자몽만 할 겁니다. 0:01:45.461,0:01:48.830 안경원숭이의 커다란 눈은 [br]귀여워 보이기 위해서가 아니라 0:01:48.830,0:01:51.881 가능한 한 많은 빛을[br]모으기 위한 것입니다. 0:01:51.881,0:01:56.551 눈이 더 클 수록 동공과[br]수정체의 크기가 커지며 0:01:56.551,0:01:59.831 때문에 수용기에 더 많은 빛을 [br]집중시킬 수 있습니다. 0:01:59.831,0:02:04.223 안경원숭이가 이런 큰 확대경으로 [br]밤의 풍경을 만끽하는 반면 0:02:04.223,0:02:08.432 고양이들은 빛나는 눈을 이용합니다. 0:02:08.432,0:02:09.982 고양이의 눈이 빛나는 이유는 0:02:09.982,0:02:14.791 광수용기 뒤에 있는 [br]반사판이라는 구조 때문입니다. 0:02:14.791,0:02:18.733 반사판은 수정체를 포함하는 거울같은 [br]세포층으로 만들어져있으며 0:02:18.733,0:02:24.066 이것들은 들어온 빛을 [br]광수용기와 눈 밖으로 반사시킵니다. 0:02:24.066,0:02:25.812 이 때문에 고양이 눈에서 [br]으스스한 빛이 나며 0:02:25.812,0:02:30.342 광수용기에게 있어서는 [br]빛을 포착할 두 번째 기회가 생깁니다. 0:02:30.342,0:02:35.973 사실 이 체계는 우리가 차량에 사용하는[br]인조 고양이 눈에 영감을 주었습니다. 0:02:35.973,0:02:39.653 반면, 두꺼비는 조금 더 느리게 [br]가는 방법을 선택했습니다. 0:02:39.653,0:02:45.696 이들은 광자가 1초에 하나만 도착해도[br]상을 형성시킬 수 있습니다. 0:02:45.701,0:02:51.356 이들의 광 수용기는 사람의 것 보다 [br]25배 느리기 때문에 이것이 가능하지요. 0:02:51.356,0:02:54.486 덕분에 두꺼비들은 최대 4초동안[br]광자를 모을 수 있으며 0:02:54.486,0:02:57.362 인간의 눈이 한 번에 모으는 것보다 0:02:57.362,0:02:59.743 훨씬 많은 빛을 모을 수 있습니다. 0:02:59.743,0:03:03.762 단점은 이것이 두꺼비를 매우 느리게[br]반응하도록 한다는 것이지요. 0:03:03.762,0:03:08.034 이는 그들이 겨우 4초에 한 번씩 [br]최신의 이미지를 받기 때문입니다. 0:03:08.034,0:03:11.474 다행스럽게도 두꺼비들은 [br]느릿한 먹이를 사냥하도록 적응했지요. 0:03:11.474,0:03:16.813 한편, 밤은 박각시나방 같은 [br]곤충으로도 붐빕니다. 0:03:16.813,0:03:21.254 이들은 별빛에만 의지해서도[br]좋아하는 꽃의 색을 볼 수 있습니다. 0:03:21.254,0:03:23.383 이는 꽤 놀라운 선택의 결과입니다. 0:03:23.383,0:03:26.213 시각적으로 인지한 부분에서[br]세부적인 사항을 버리는 것이지요. 0:03:26.213,0:03:29.754 인접한 광수용기들에서 얻은[br]정보는 뇌에서 무리지어지고 0:03:29.754,0:03:32.244 각 그룹단위로 모인 광자들의 양은 0:03:32.244,0:03:34.745 각 각의 광수용기에 모인 [br]양보다 더 많습니다. 0:03:34.745,0:03:38.422 하지만 광수용기를 무리지으면[br]상의 세부적인 부분을 놓치게 되는데 0:03:38.422,0:03:42.014 세부적인 부분을 얻으려면 각각의 [br]수용기가 한 점의 빛을 포착하는 0:03:42.014,0:03:45.784 촘촘한 광수용기의 배치가 필요합니다. 0:03:45.784,0:03:49.064 여기서 비결은 꽃을 찾을 수 [br]있을 만큼 정도로만 0:03:49.064,0:03:51.243 광자를 받도록 세부적인 부분을 [br]포기하는 것입니다. 0:03:51.243,0:03:54.194 그들의 눈이 느리든, 거대하든,[br]빛나거든, 흐리멍텅하든 0:03:54.194,0:03:57.245 야행성 동물들이 [br]이런 고유한 시력을 가지는 것은 0:03:57.245,0:04:00.956 생물학적 적응의 결과입니다. 0:04:00.956,0:04:06.597 해가 지면 비로소 밝아오는 세상을 [br]이들의 눈으로 보는 것을 상상해보세요.